한국형 경영전문대학원(MBA) 평균 경쟁률 1.74대 1 기록
이명선
| 2014-12-05 11:29:08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교육부는 13개 한국형 경영전문대학원(MBA)의 2014학년도 신입생 모집 및 운영 현황자료를 분석해 발표했다. 교육부는 2007년부터 매년 한국형 경영전문대학원(MBA) 신입생 모집 및 운영 현황을 해당 대학에서 받아 발표하고 있다.
경영학석사과정 프로그램인 한국형 경영전문대학원(MBA)은 한국적 기업특성에 맞고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경영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현재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 총 13개 대학에서 운영 중이다.
올해는 13개 대학에서 1,986명 모집에 3,448명이 지원해 평균 1.7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13개 경영전문대학원 모두 주간과정(Full-time) 학생을 모집했다. 주간과정은 총 585명 모집에 741명이 지원해 평균 1.2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야간·주말과정(Part-time) 신입생을 모집한 대학은 11개교로 총 1,401명 모집에 2,707명이 지원하여 평균 1.9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13개 경영전문대학원 모두 외국인이 입학했고 입학생 수는 고려대 36명, 연세대 22명, 서울대 18명, 성균관대 15명 순으로 나타났다. 45개국에서 총 121명이 입학해 지난해 124명에 비해 3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입학생의 출신 국적은 미국 21명, 중국 22명, 인도와 프랑스 6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외국인 재학생은 56개국 총 247명으로 지난해 하반기 236명보다 11명이 증가했다.
각 대학은 교육과정의 국제화를 위해 외국인 교수 채용과 외국 대학과의 제휴를 통한 저명교수 초빙도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교수는 성균관대 18명, 고려대 16명, 연세대 9명 등 총 72명의 외국인 교수를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65명에 비해 7명이 증가한 수치다. 외국인 교수는 총 21개국에서 채용됐다. 미국이 44명(61.1%)으로 가장 높았고 캐나다와 일본이 4명, 인도가 각 2명 등의 순이었다.
총 1,543 과목 중 영어 강의 교과목은 826개(53.5%)가 개설돼 지난해 대비 약 0.8%p 증가했다. 그 중 10개 주간과정(Full-time) 및 3개 야간·주말과정 (Part-time)은 100% 영어 강의로 진행되고 있어 대학에서 국제적 역량 강화에 대한 노력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형 경영전문대학원(MBA)의 세계적 수준으로의 도약을 위해 각 대학에서는 미국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AACSB), 유럽교육수준향상시스템(EQUIS) 등의 국제인증 획득을 추진하고 있고 AACSB 인증은 총 10개교, EQUIS 인증은 총 2개교가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인증 획득 현황>
구분 |
대학 |
AACSB |
서울대(2002년 인증, 2012년 재인증), 고려대(2005년 인증, 2010년 재인증), 성균관대(2009년 인증, 2014년 재인증), 연세대(2009년), 서강대(2009년), 한양대(2010년), 이화여대('10년), 동국대(’12년), 전남대(‘12년), 인하대(’14년) |
EQUIS |
고려대(2007년), 연세대(2012년) |
올해 13개 대학 MBA 주간과정 졸업생(외국인 포함)은 487명으로 이 중 취업자가 398명, 타 학위과정(박사 등) 진학자, 입대자, 미취업자가 89명으로 취업률이 81.7%로 집계됐다. 취업분야는 기업이 65.7%, 금융업 5.7%로 나타났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