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교통, 범죄사고 등의 안전정보..통합데이터베이스로 제공

이혜선

| 2013-08-28 10:50:28

안전취약구역과 안전우수구역 정보의 종합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전경로 안내

시사투데이 이혜선 기자] 안전행정부는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 및 국민생활안전지도 시범구축 사업’을 시작하며 ‘국민안전 종합대책’의 구체적 실현을 개시한다.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은 그동안 부처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던 재난, 교통, 생활안전사고, 범죄정보 등 다양한 안전정보를 통합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어 국민 생활안전에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생활안전지도, 안전지수, 안전한 지역 만들기 포털, 지역 안전진단과 컨설팅, 재난예측·분석 기능 등으로 서비스 된다.

우선, 생활안전지도는 올해 4대 분야(범죄·재난·교통·생활안전)에 대해 10여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시범 구축해 2014년 상반기에 시범서비스를 개시하고, 하반기에 전 지역으로 범위를 확대해 공개할 예정이다.

생활안전지도가 구축되면 경찰서, 소방서, CCTV 등 안전시설의 위치와 범죄발생 지역의 영향권을 분석해 어린이들에게 안전한 등하굣길을 안내하거나 여성이 밤길을 편안하게 다닐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안전지수는 올해 유형별(범죄·재난·교통 등)로 핵심 안전지표를 지수화해 개발하고, 내년 시범 시군구에 먼저 제공해 보완한 후, 2015년부터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공개할 방침이다.

유정복 안행부 장관은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자치단체 별로 종합적인 안전정보를 바탕으로 안전대책을 시행할 수 있어 국민의 생활 안전도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 기대한다”며 “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앞으로도 안전정보 공유와 기관 간 협업을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켜 국민의 행복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