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닝과 함께하는 스마트 라이프!

최혜연

| 2010-09-16 11:08:02

국제 박람회, 국제 콘퍼런스, 기타 다양한 부대행사 구성 문화체육관광부

[시사투데이 최혜연 기자] 이러닝의 현재와 미래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국제적 행사 ‘2010 이러닝 위크(e-Learning week 2010)’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문화체육관광부, 지식경제부 공동주최로 오는 9월 16일(목)부터 18일(토)까지 서울 COEX에서 개최된다.

그동안 ‘이러닝 국제박람회’와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로 각각 개최되었던 행사가 ‘2010 이러닝 위크(e-Learning week 2010)’로 통합되어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Enjoy Smart Life on e-Learning Week 2010!’ 이라는 주제로 우리나라의 이러닝 정책과 우수 제품 소개를 위한 박람회와 콘퍼런스, 그리고 다양한 부대행사가 다채롭게 진행되어, 9월 3째주를 명실공히 이러닝 축제 주간으로 만들 예정이다.

특히,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e-Book․IPTV․DMB 등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이러닝의 발전 가능성 및 최신 이러닝의 트렌드를 살펴보고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이번 국제 박람회에는 국내 70여개 기관․기업, 해외 10개국 20여개 기업이 참가해 279개 부스를 운영하고, 약 2만여명의 관람객이 참가할 예정이다. 정책홍보관은 정부의 교육정보화 사업 및 이러닝의 주요 성과를 전시․소개하고 미래비전을 홍보하기 위해 부처별로 운영된다.

교육과학기술부 테마관에서는 u-교실 등을 통해 우리 자녀들이 생활할 미래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을 구현하고, 스마트러닝․증강현실을 체험해 볼 수 있다. 또 모바일 러닝․G-러닝․3D 디지털교과서 수업을 시연한다.

문화체육관광부 테마관은 정책관, 가상현실콘텐츠관, 에듀테인먼트체험관, G-러닝관으로 구성되며,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시연 및 체험공간을 마련하고 지원 사업을 소개한다.

지식경제부 테마관에서는 새로운 훈련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트레이닝(e-Training) 시스템을 비롯해 헤드셋을 통한 뇌파측정으로 학습 집중도 체크가 가능한 감성형 이러닝 시스템, PC․PMP․스마트폰이 연동되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이 가능한 지능형 유러닝 시스템이 전시되어, 차세대 이러닝 환경의 직접 체험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글로벌 기업관에서는 스마트 라이프, 스마트 홈, 스마트 스쿨, 스마트 HRD 등 4부문으로 나누어 국내외 참가기업들의 최신 이러닝 솔루션, 콘텐츠, 하드웨어 등을 선보인다. 국제 콘퍼런스는 ‘Enhancing e-Learning in a Smart Way’를 주제로 개최되며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확산 등으로 인해 변화하는 미래 교육환경을 예측해 보고, 향후 이러닝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17일 기조강연은 오해석 청와대 IT 특별 보좌관(16일)과 Stanford대 교수이자 “Stanford Center for Innovations in Learning”의 센터장으로 있는 Roy D. Pea교수가 담당한다.

이번 콘퍼런스는 16일 1일차에는 정부부처(교과부, 외교부, 문화부, 지경부)의 정책트랙으로 구성되며, 17일 2일차에는 학술 및 산업트랙으로 구성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박람회에 사우디아라비아 교육부 차관을 초청해 한국의 이러닝을 소개하고 사우디아라비아 스마트스쿨 사업에 대한 협력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이러닝 글로벌 커뮤니티 포럼을 개최해 이러닝산업 발전 잠재력을 가진 국가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이러닝기술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향후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 예정이다.

동 포럼에는 아시아 및 중남미의 주요 국가 12개국의 공무원, 학자 및 사업자단체와 우리나라에서는 지식경제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러닝학회 및 주요 기업체들이 참여해 이러닝에 대한 국제적 논의동향, 한국의 이러닝 정책 및 정기적 국제포럼 개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게 된다.

교과부, 외교부, 문화부, 지경부는 올해로 5회째를 맞게 되는 이번 행사를 통해 이러닝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흥미를 제고하는 한편, 국제사회에서 이러닝 선도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러닝산업이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적 공조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