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물가 2.1% 상승…추석 먹거리 가격 고공행진
전해원 기자
sisahw@daum.net | 2025-10-02 08:47:59
외식물가도 상승폭 확대…국가데이터처 "소비쿠폰, 큰 영향 주진 않은 듯"
[시사투데이 = 전해원 기자] 지난달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만에 다시 2%대로 상승했다.
명절 수요 등 영향으로 달걀값이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르는 등 가공식품과 축·수산물을 포함한 먹거리를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가 지속됐다.
국가데이터처가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7월 2%대를 기록했다가 8월엔 SK텔레콤[017670] 해킹 사태에 따른 요금 인하 효과로 1.7%로 반짝 둔화했다.
가공식품 물가는 전달과 마찬가지로 4.2% 뛰며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p) 끌어올렸다. 특히 빵(6.5%), 커피(15.6%)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가공식품 상승세로 공업제품 물가는 2.2% 상승하며 지난 1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5.4%, 6.4% 오르며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은 전달보다 상승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달걀은 추석을 앞두고 수요가 늘면서 전달(8.0%)보다 상승 폭(9.2%)이 커졌다. 2022년 1월(15.8%) 이후 최대폭 상승이다.
농산물 물가는 1.2% 하락했다. 채소류 물가가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하락 전환(-12.3%)한 것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다만, 쌀(15.9%), 찹쌀(46.1%) 등 일부 품목은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공공서비스 물가는 8월엔 SK텔레콤 효과로 3.6% 하락했으나 9월엔 1.2% 올랐다.
외식 물가는 3.4% 상승했다. 배달료 인상, 작년 명절 세일행사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달(3.1%)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외식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물가는 2.9% 올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2.5% 올랐다. 전달(1.5%)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됐다.
어류·조개류가 속한 신선어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2.5%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0% 상승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는 말에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라고 답했다.
시사투데이 / 전해원 기자 sisahw@daum.net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