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환자 진단부터 완치까지 맞춤관리..통합관리 시행

이선아

| 2024-05-31 11:12:55

지자체-의료기관 협력 고위험 다제내성결핵환자 집중관리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

[시사투데이 이선아 기자] 정부가 결핵환자의 치료성공률 향상을 위해 환자의 상황에 따라 진단부터 복약관리, 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한 전문치료를 지원한다.

질병관리청은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를 6월부터 시행한다고 31일 발표했다.

결핵 완치를 위해 감수성결핵은 6개월, 다제내성결핵은 6~20개월동안 적절한 항결핵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치료 중 항결핵제를 임의 중단한 경우 재발하거나 약제에 대한 내성을 얻어 다제내성결핵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완료 시까지 지속적인 약제 복용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결핵환자가 경제적 문제, 동반질환, 약제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결핵치료를 중단하고 있어 국내 결핵 치료성공률이 향상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결핵환자가 치료를 중단하지 않고 치료를 완료할 수 있도록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참여 의료기관과 보건소가 협력해 결핵환자 진단부터 치료종료까지 통합해 관리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결핵환자 진단 시 약제감수성검사 여부를 확인해 환자별 취약성평가 결과에 따라 맞춤형 복약관리를 하고 취약도가 높은 중고위험군 환자는 적절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한다. 다제내성결핵환자는 전문의료기관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의료기관과 보건소가 함께 결핵환자의 임상적·사회경제적 상태를 파악하고 맞춤형 환자관리로 모든 결핵환자가 성공적으로 결핵을 완치할 수 있도록 꼼꼼히 지원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