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3일 1년 이상 근력운동 하면 근감소증 위험 20% 감소

이선아

| 2024-03-19 14:57:04

40세 이상 남녀 약 13만명 대규모 데이터 분석 결과 저항성운동의 빈도 및 기간에 따른 근감소증 위험에 대한 오즈비

[시사투데이 이선아 기자] 일주일에 3일 이상 1년 넘게 근력운동을 지속하면 근감소증 위험을 2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저항성운동을 주 3일 이상, 적어도 1년 이상 지속하면 근감소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전문학술지에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저항성운동은 근력과 근지구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신체, 기구 등의 무게를 활용해 근육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는 운동이다. 근력운동은 저항성운동의 일종이다.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자료를 활용해 40~79세 성인 12만6339명을 대상으로 저항성운동의 수행 빈도, 수행 기간, 근감소증 주요 진단 지표인 저근육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저항성운동의 수행빈도는 주당 1일·2일·3~4일·5일 이상 수행한 경우, 수행기간은 12개월 미만·12–23개월·24개월 이상 지속한 경우로 구분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저항성운동을 수행하지 않았을 때보다 주 3~4일씩 12~23개월 동안 수행한 경우 근감소증 위험이 20% 감소했다. 주 5일 이상 수행한 경우에는 24% 감소했다. 특히 저항성운동을 24개월 이상 지속한 경우에는 효과가 극대화 돼 주 3~4일과 주 5일 이상 수행한 경우 모두 근감소증 위험이 각각 45%씩 감소했다.

하지만 주 3일 이상의 저항성운동 실천율은 전체 9%로 남성 11%, 여성 8%였다. 1년 이상의 저항성운동 실천율도 남성 12%, 여성 8%로 평균 9%에 불과해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저항성운동 실천율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신체기능 저하, 골다공증, 당뇨병, 사망률 등의 위험 증가와도 관련된 근감소증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주 3일 이상 꾸준히 저항성운동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