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확산 위험 높은 아프리카돼지열병..전문인력·첨단장비 투입

정미라

| 2023-11-13 11:08:58

폐사체 탐지견 추가 도입·차단울타리 자동잠금장치 설치 야생멧돼지 폐사체 신고요령 안내서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야생멧돼지의 활동반경이 넓어지는 겨울철이 다가옴에 따라 정부가 민가 피해를 막기 위해 중점 관리에 들어간다.

환경부는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겨울철 중점 관리대책'을 13일부터 시행한다.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겨울철은 번식기, 먹이부족 등의 이유로 야생멧돼지의 활동반경이 넓어지는 시기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과 확산위험도 다른 계절에 비해 높은 편이다. 국내에서 첫 발생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총 3327건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중 60% 이상인 2078건이 겨울철 기간이었다.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연간 발생 건수는 2021년 964건, 2022년 878건, 올해 10월까지 558건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미발생 지역으로 확산이 계속되고 있고 발생이 잦아든 지역에서도 언제든 재확산 가능성이 있다.

이번 겨울철에는 야간에 주로 활동하는 야생멧돼지를 효율적으로 탐색·추적하기 위한 열화상무인기(드론) 운용 8개 팀과 특수 제작된 포획함정(트랩) 1,200개를 현장에 투입한다.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신속하게 수색·제거하기 위해 폐사체 탐지견을 현행 6마리에서 4마리를 추가해 총 10마리를 운영한다.

영덕·청송·포항 등 경북 광역울타리 밖 확산지역에 대한 추가 차단 대책도 시행한다. 열화상무인기(드론) 운용 4개 팀과 포획함정(트랩) 100개를 활용하는 등 포획 전문인력과 첨단장비를 집중적으로 투입한다.

유역(지방)환경청과 국립공원공단에 속한 수색반 40여 명과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폐사체 탐지견 6마리 등을 투입해 추가확산을 차단한다.

안세창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겨울철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차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지자체 등 관계기관에서도 확산 예방을 위한 자체적인 활동과 방역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