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0년 전부터 순천만 습지서 살아온 희귀 돌말류 신종 발견

이윤지

| 2023-04-27 10:34:29

식물플랑크톤 분류군 '기페니아' 속 생물 종 확인 신종 돌말류 기페니아 코리아나의 채집 현장 사진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1400년 전부터 살아온 희귀 돌말류 신종이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과거에 살았던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 연구를 통해 순천만 습지의 퇴적토에서 희귀 신종 돌말류 1종을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된 신종 돌말류를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종이라는 데 의미를 두어 ‘기페니아 코리아나(Giffenia koreana Lee & Park sp. nov.)’로 이름 지었다.

연구진은 2018년 6월 순천만 습지를 시추해 퇴적토를 확보했고 최근까지 퇴적토를 분석해 과거에 살았던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한 분류군인 기페니아 코리아나를 발견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해 형태적 특성을 자세히 분석했다.

그 결과 이 돌말류가 현재 전 세계에 1종만이 보고돼 있는 기페니아(Giffenia) 속의 생물 종으로 확인됐다.

기페니아 코리아나는 기존에 알려진 기페니아 속의 종과 세포의 길이, 폭, 세포 표면의 점무늬 수 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순천만 습지 퇴적토의 표층부터 최하 6m 아래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발견됐고 탄소연대를 분석한 결과 약 1400년 전인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이 돌말류가 순천만 습지에서 계속 살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기페니아 코리아나는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오래된 퇴적토에서 발견된 신종 돌말류라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 종의 생태학적 정보를 추가로 확보해 이 생물이 살았던 시기의 환경 변화를 규명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고 했다.

연구진은 이 신종에 대한 정보를 올해 6월 국제 학계에 보고하고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기록하는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할 계획이다. ​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