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가 재생에너지로..'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지자체 선정

이윤지

| 2022-02-17 13:40:17

서울·순천·구미·청주에 2026년 완공 추진 계획 서울시 난지물재생센터 사업부지 순천시 공공하수처리장 사업부지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오는 2026년 서울시, 순천시, 구미시, 청주시에 음식물류폐기물,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등을 재생에너지로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 설치된다.

환경부는 14일 유기성 폐자원으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시범사업 대상 지자체로 서울시, 순천시, 구미시, 청주시 4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은 개별시설에서 처리하는 음식물,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등을 단일시설에서 통합처리하고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서울시는 고양시와 합동으로 난지물재생센터 부지에 음식물과 분뇨를 통합처리하는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설치하고 수소 생산과 도시가스 공급에 활용할 예정이다.

순천시는 기존 교량동에 소재한 하수처리장에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추가해 음식물,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및 분뇨를 통합처리하고 생산한 바이오가스를 수소발전과 도시가스 공급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구미시는 칠곡군과 합동으로 구미 하수처리장 부지에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설치해 음식물,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분뇨를 통합처리하고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도시가스로 공급할 예정이다.

청주시는 기존 하수처리장의 노후화시설을 바이오가스화 시설로 개량해 음식물,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등을 처리하고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발전사업과 지역주민 온수 공급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시범사업 설비가 2026년 완공될 경우 하루 1,660톤의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할 수 있고 하루 약 14만Nm3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약 9만 2천 가구가 도시가스로 사용할 수 있는 분량이다.

오영민 환경부 재생에너지티에프(TF) 과장은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더욱 적극 확대해 쓰레기 처리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지역주민과 함께 에너지를 만들어가는 분산형 에너지 확산의 모범사례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