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 조사..바닷새 위치추적기 부착
이윤지
| 2021-10-07 10:31:51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해양수산부는 세계자연유산 등재 지역에 오는 바닷새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해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로’를 조사한다.
바닷새는 갯벌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을 먹고 사는 생태계 먹이단계의 최상위 분류군으로 갯벌의 생물다양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로 이용된다. 한국의 갯벌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이용하는 멸종위기종을 비롯한 다양한 바닷새의 서식지이자 번식지다. 국제적 중요도와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7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 된 바 있다.
해수부는 그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전 해역의 34개소에서 바닷새 현황을 조사하고 관측자료를 확보해 왔다.
이번 바닷새 이동경로 조사는 이와는 별도로 바닷새의 이동경로, 서식지 이용패턴 등을 주로 파악하기 위한 조사다. 철새 서식지로서 ‘한국의 갯벌’을 보전해 관리하고 인근 습지보호지역의 세계유산구역 2단계 확대 등재를 위한 바닷새 행동권 분석의 기초자료를 확보할 예정이다.
우선 올해 10월부터 12월까지는 겨울철을 맞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갯벌구역에 가장 많이 오는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등 오리류와 재갈매기, 괭이갈매기 등 갈매기류 등 멸종 위기종을 대상으로 시범조사를 실시한다. 내년부터는 주요 철새 및 멸종 위기종 등을 대상으로 조사 대상종과 지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해수부는 2025년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가 열리기까지 바닷새가 방문하는 주요 지자체·지역주민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습지보호지역 신규 지정을 포함한 세계유산구역 2단계 확대 등재를 추진한다.
이재영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이번 조사로 동아시아-대서양주 철새 이동경로를 통해 우리나라 갯벌에 오는 바닷새의 국내 서식지 이용 특성과 이동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