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회의실·주차장 등 전국 1만5천여개 공공자원 개방

정명웅

| 2018-07-24 12:01:14

‘공공자원 개방·공유 서비스’ 시범사업 실시 유형별 개방자원(2018년 7월 18일 기준)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8월부터 공공부문이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회의실, 강의실, 주차장 등이 국민들에게 개방된다.

행정안전부는 24일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시설이나 물품을 국민에게 개방하는 ‘공공자원 개방·공유 서비스 추진계획’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공공자원 개방·공유 서비스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이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회의실, 강의실, 강당, 주차장, 체육시설, 숙박시설 등을 유휴시간이 발생할 때 국민에게 개방하는 사업이다.

그동안 일부 자치단체를 중심으로만 공공자원이 개방돼 형평성 문제가 제기돼 왔다. 또한 공공자원을 개방하고 있는 공공기관이 있어도 개방 정보를 각 기관별로 안내하고 있어 국민이 필요한 시설을 찾고 이용함에 있어 불편이 따랐다.

행안부는 8월부터 32개 중앙부처, 243개 자치단체, 167개 공공기관이 개방한 1만5천여개의 공공자원 정보를 ‘정부24’에서 통합 안내하는 서비스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시범사업은 회의실, 강당, 주차장, 체육시설, 숙박시설 등 국민 수요가 높은 5개 자원을 중심으로 우선 개방한다.

‘정부24’ 내 ‘공공자원 개방·공유 서비스 시범사업’ 코너에서 개방자원 종류, 수용인원, 사용료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각 기관별 사정에 따라 전화와 방문예약 후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개방선도 지역으로 지정된 경기 시흥시, 전북 전주시, 경남 김해시는 각 지역별 누리집에서 지역 내 모든 개방자원을 예약하고 이용할 수 있다.

김부겸 행안부 장관은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공공시설에 국민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다수 있는데 이를 공유해 쓰는 것이 정부혁신의 사례로 생각한다”며 “참여기관과 개방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전국 각지의 공공자원을 국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