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난해 결핵 신환자율 전년 대비 4.3% 감소..여전히 결핵환자 발생 높아

정미라

| 2017-03-24 10:41:25

결핵 발생률 2025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감소 목표 연도별 신고 결핵 (신)환자수 및 율(2001~2016)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지난해 결핵 신환자율이 전년 대비 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24일 지난 한 해 동안 국가결핵감시체계를 통해 분석한 ‘2016년 결핵환자 신고현황’을 발표했다.

지난해 결핵 신환자는 3만892명으로 2015년 3만2,181명 대비 4.3% 감소했다. 2000년 이후 좀처럼 줄지 않던 결핵이 2012년 3만9,545명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지난해 8,653명이 감소한 것. 특히 15~24세까지 젊은 층에서 결핵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2,030명, 2015년 1,014명, 2016년 750명으로 줄었다. 아울러 20~24세 결핵 신환자율은 15.7% 감소했다.

반면 외국인 결핵 환자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로 신환자는 2015년 1,589명에서 2016년 2,123명으로 증가했다. 정부는 결핵 고위험국 국민이 국내에 91일 이상 장기체류할 목적으로 비자신청을 하면 재외공관 지정병원에서 결핵검사를 의무화하고 환자가 완치 될 때까지 비자발급을 제한하는 강도 높은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매년 3만여 명 이상의 결핵환자가 발생하고 2천 2백여 명이 결핵으로 사망하고 있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결핵 발생률 1위로 2위 포르투갈과의 격차도 커 여전히 결핵 후진국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지난해 3월 OECD 최하위인 결핵 발병 지표를 2025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선제적 예방에 중점을 둔 ‘결핵 안심국가 실행계획’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올해 3월부터 의료기관 종사자 12만 명, 어린이집 종사자 14만 명,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13만 명 등 집단시설 종사자 38만 명에 대해 잠복결핵 검진이 시행된다. 의료기관, 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종사자는 결핵 검진은 매년 1회, 잠복결핵 검진은 근무 기간 중 1회 실시해야 한다.

아울러 올해 1월부터 병역판정검사 대상자 34만 명에 대한 잠복결핵검진을 시작했다. 4월부터는 고교 1학년 학생, 교원 47만 명을 대상으로 잠복결핵검진을 실시한다. 고교 1학년은 결핵 발병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연령인 만큼 건강검사 항목에 잠복결핵검진을 추가해 결핵 발병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학교 밖 청소년 1만 명과 교정시설 재소자 4만 명에 대해서도 각각 3월과 5월부터 잠복결핵 검진이 실시될 계획이다.

7월부터는 만 40세(1977년생) 건강진단 대상자 64만 명에 대해 잠복결핵검진이 시행될 예정이다. 결핵발생이 급증하는 노년층의 결핵 발병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취지다.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결핵 안심국가’ 사업은 결핵 발생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강도 높게 추진될 것이다”며 “결핵퇴치를 위해 국민들이 결핵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결핵예방수칙을 잘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