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내년 1월4부터 신년 업무보고 받아
윤용
| 2016-12-24 12:13:10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내년 1월4일부터 11일까지 외교·안보 분야를 시작으로 모두 5차례에 걸쳐 정부부처로부터 2017년 신년업무보고를 받는다. 올해 초 박근혜 대통령이 받은 신년 업무보고가 1월14~26일에 이뤄졌던 것에 비하면 시기는 열흘 앞당겨 졌다.
23일 오후 정부 서울청사에서 가진 '2017년 정부 업무보고' 관련 브리핑에 따르면, 업무보고 부처는 장관급 22개 기관과 차관급 5개 기관 등 모두 27개의 기관이다.
최병환 국무조정실 국정운영실장은 "내년도 업무보고는 안보와 경제가 엄중한 상황에서 국정의 안정적 운영과 주요 정책과제의 성공적 마무리, 국민 체감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5개 분야로 나눠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4일 굳건한 안보(국방부·외교부·통일부·국가보훈처) △5일 튼튼한 경제(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공정거래위원회·금융위원회) △6일 미래성장동력 확보(미래창조과학부·문화체육관광부·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방송통신위원회) △9일 일자리 및 민생안정(교육부·보건복지부·환경부·고용노동부·여성가족부·식품의약품안전처) △11일 국민안전 및 법질서(행정자치부·법무부·국민권익위원회·국민안전처·원자력안전위원회·법제처·인사처) 등 4~7개 부처 합동으로 진행된다.
앞서 황 권한대행 측은 23일까지 업무보고 내용을 정리해서 국무조정실로 보고하도록 지시를 내려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의 경우 연말까지 업무보고 내용을 정리해서 보고하도록 했다는 점으로 미뤄볼 때 업무보고 일정이 약 열흘 정도 앞당겨진 것이다. 이는 탄핵 정국으로 인한 국정공백을 최소화하자는 의도로 분석된다.
정부는 내년 업무보고를 1월 초에 마무리해 속도감 있게 정부업무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현재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각 부처 내년도 업무계획을 조속히 확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간소화하면서 내실 있는 업무보고를 위해 각 부처가 핵심업무 전반을 설명하도록 '부처별 보고방식'으로 하되 별도 프리젠테이션파일(PPT) 작업없이 한글문서로 보고 받기로 했다.
올해의 경우 △내수와 수출균형을 통한 경제활성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성장동력확충 △청년일자리 창출 및 맞춤형 복지△평화통일 기반구축 △국가혁신 등 주제에 따라 관련 부처가 매번 합동보고 했었는데 다시 부처별 보고로 바뀐 것이다.
단 내년 보고에서 부처간 협력이 필요한 과제에 대해서는 부처별 보고 뒤 별도로 관계부처 장관과 국책연구기관장이 참여하는 분야별 주제토론을 실시한다. 구체적인 토론 주제는 △북핵 해결 접근전략(안보) △리스크 관리 및 경제 활력 제고(경제) △신산업 육성(미래성장) △민생정책 구현방안(민생) △국민 안심사회 구현(안전) 등이다.
정부는 각 부처의 주요 업무계획을 알기 쉽게 설명할 방침이며, 국민이 정책으로 인한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성과를 창출하고, 국민 체감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