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보조금 부정수급 ‘보건복지’ 37.6% 가장 많아
전해원
| 2016-12-14 11:31:38
분야별로는 보건복지 32건(37.6%), 산업자원 22건(25.9%), 노동 15건(17.6%), 농축산식품 6건(7.1%), 건설교통 5건(5.9%) 순으로 5개 분야 신고 건수가 전체 신고의 94.1%를 차지했다. 유형별로는 운영비·사업비 부정수급 47건(55.3%), 인건비 29건(34.1%) 등으로 많았다.
부정수급 수법으로는 직원을 허위로 등록해 인건비를 지급받는 사례가 26건(30.6%)로 가장 많았고 서류를 조작해 운영비나 사업비를 부정수급 한 사례가 25건(29.4%)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수급 자격 기준위반 12건(14.1%), 보조금 등 목적 외 사용 9건(10.6%), 실업급여 등 각종 급여 신청 시 근로소득 숨기기 8건(9.4%), 공사비나 물품구입비 부풀리기 1건(1.2%) 등으로 나타났다.
대상사업별로는 연구개발(R&D) 사업이 22건(25.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어린이집 및 기초생활 각 8건(9.4%), 복지시설 7건(8.2%), 실업급여 및 농업보조금 각 6건(7.1%), 사회적기업 및 유가보조금 각 5건(5.9%) 등으로 나타났다.
권익위는 부정수급 사실이 확인되면 검찰, 경찰, 감사원 등에 이첩해 처리하도록 하며 신고를 통해 환수된 금액에 따라 최대 30억 원의 보상금 또는 최대 2억 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권익위 관계자는 “공공재정의 부정수급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국민 여러분의 상시적인 감시와 용기 있는 신고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