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항생제 인식 주간’ 맞아 ‘항생제 바로쓰기 운동본부’ 출범

김세미

| 2016-11-10 11:59:45

14일 오후 2시 서울여성플라스 아트홀 봄 개최 보건복지부 사진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보건복지부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16~2020)’ 일환으로 국민들에게 항생제 내성의 심각성과 올바른 항생제 복용법 등을 알리기 위한 민관학 합동 ‘항생제 바로쓰기 운동본부’ 발대식을 14일 오후 2시 서울여성플라스 아트홀 봄(서울 동작구)에서 개최한다.

페니실린을 필두로 한 각종 항생제 등장으로 감염병은 치료의 영역이 됐으나 항생제에 듣지 않는 내성균의 출현과 확산은 사망률 증가, 치료기간 연장, 의료비용 상승 등으로 인류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실정이다.

올해 5월 발표된 영국 정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항생제 내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2050년 전 세계적으로 연간 1,000만 명이 내성균에 의해 사망할 것으로 예측되는 등 국제 사회도 신종감염병 이상의 파급력을 가진 항생제 내성의 심각성을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또한 올해 9월 개최된 유엔 총회에서 항생제 내성 해결을 위한 결의안이 채택될 정도로 글로벌 보건 이슈의 최우선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지난 8월 11일 항생제 적정 사용, 내성균 확산 방지, 감시체계 강화, 항생제 인식 개선, 인프라 및 R&D 확충, 국제협력 활성화 등의 6대 분야를 주요 내용으로 보건의료, 농·축·수산, 식품, 환경 분야를 아우르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16~2020)’을 수립한 바 있다.

이를 통해 5년 후 인체 항생제 사용량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으로 낮추고 항생제 복용이 불필요한 감기의 항생제 처방률을 2015년 대비 절반으로 줄이며 의료와 축산 영역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항생제의 내성률도 10~20% 정도 낮추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현재 표본감시 내성균 6종 가운데 발생 시 확산 우려가 크고 치명률이 높은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과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CRE)에 대해서는 모든 의료기관의 신고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 항생제 내성 감시체계(GLASS) 가입을 통해 국가 간 표준화된 내성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다.

정 장관은 축사를 통해 항생제 내성 문제는 우리 사회 전 분야가 합심해서 풀어나가야 할 매우 시급한 과제임을 상기시키고 본 운동본부의 발대식을 시발점으로 삼아 국민들이 소중한 항생제를 ‘필요한 경우에만’, ‘올바른 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계각층의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할 예정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