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신종 감염병 대응 위해 시·도 감염병 관리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

이윤지

| 2016-08-11 10:55:50

조기발견-초동대처-후속관리 보건복지부 사진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앞으로 지자체에 감염병 관리 전담 기구와 인력이 확충돼 지역 단위에서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감염병 대응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행정자치부는 10일 시·도-보건환경연구원-보건소의 감염병 관리 기능 강화를 위한 ‘지자체 감염병 대응 조직 개편 방안’을 마련해 지자체에 통보했다.

그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지카바이러스 등 주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신종 감염병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자체의 신속·체계적인 대응 역량이 부족하고 전문성이 취약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지역 단위에서 감염병 조기발견—초동대처—후속관리 등이 완료될 수 있도록 감염병 대응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담당 인력을 증원하기로 했다.

우선 매뉴얼 정비, 교육과 훈련, 총괄 상황 관리 등 시·도의 감염병 대비와 대응 기능이 확대됐다. 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도별 전담인력을 두고 질병관리본부, 시도 감염병관리본부(민간 의료기관 위탁) 등과의 민·관 네트워크도 강화하도록 할 방침이다.

지금까지 서울시를 제외한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부 등에서 식·약품, 농산물 검사 등을 병행했으나 앞으로는 감염병을 전담하는 독립된 부서를 별도로 설치해 전문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감염병 검사량 증가를 고려해 연구원별로 전문 검사인력을 2∼5명 확충해 전국 16개 보건환경연구원에 총 67명의 인력을 증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보건소는 감염병 발생 시 신고와 접수, 현장출동과 환자 이송 등 초동 대응을 전담해 현장 최일선에서 감염병 확산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질병관리본부의 긴급상황센터(EOC)와 연계해 24시간 상황관리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중요성을 감안해 보건소에 초기 대응과 상황관리 강화를 위해 최소 3명 이상의 전담 팀 또는 계가 설치되도록 하고 전국 254개 보건소에 총 283명을 증원할 계획이다.

심덕섭 행자부 지방행정실장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복지부—시도—보건환경연구원—보건소로 연계돼 지역 단위 현장까지 아우르는 국가적 감염병 대응 체계가 정립되고 촘촘한 방역망이 구축될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