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주민등록 전입신고서 작성항목 대폭 간소

이해옥

| 2016-07-12 10:10:27

등·초본 교부 신청서 ‘제출처’ 작성 삭제 개선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전입신고를 하기 위해 주민센터를 방문한 이모 씨. 전입신고서에 세대주인 자신의 이름을 쓴 횟수를 세어보니 총 6번이나 됐다. 여기에 가족 모두의 주민등록번호까지 일일이 추가로 써야 해서 여기저기 전화를 걸어 알아내느라 번거로웠다.

앞으로 민원서류 작성 시 민원인 작성항목이 최소화되고 행정기관 보유 정보는 공무원이 직접 확인해 처리하는 등 민원서비스가 대폭 간소화된다. 행정자치부는 국민이 자주 사용하는 주민등록 서식 29종을 국민이 알기 쉽고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우선 민원인이 작성하는 항목이 최소화된다. 전체 전입신고 유형 중 약 65%에 해당하는 가족 모두 이사하는 전입신고서의 경우 민원인이 작성하는 항목이 24개에서 7개로, 세대주 성명 기재도 6회에서 1회로 대폭 줄어든다. 또한 모든 주민등록 서식에서 신고인 성명을 상단과 하단에 2회 작성했으나 앞으로는 1회만 작성하는 것으로 바뀐다.

행정기관이 보유한 정보는 담당 공무원이 직접 처리하도록 해 민원인 부담도 줄인다. 등·초본 발급 시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등 수수료 면제 대상자는 증빙서류를 제출하지 않고 공무원이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통해 확인한다. 또한 모든 주민등록 서식의 주소는 민원인이 시·군·구까지만 작성하면 나머지 상세 주소는 주민등록전산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해 공무원이 처리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작성내용이 서로 유사한 서식은 통합하고 종전에 무리하게 통합해 작성에 혼선을 주고 있는 서식은 분리한다. 주민등록증 발급과 재발급 신청서는 중증장애인을 위한 방문신청서와 작성 내용이 유사한 점을 감안해 통합한다. 반면 신고내용이 다른 국외이주 신고서는 전입·재등록 신고서와 분리해 민원인이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주민등록증 재발급을 신청한 사람이 임시신분증으로 사용하는 ‘주민등록증 발급신청 확인서’도 A4크기에서 주민등록증 크기로 축소해 휴대가 쉽도록 했다.

한편, 이번 주민등록 서식개선은 국립국어원의 자문을 받아 ‘통계작성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는 표현을 ‘통계작성의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로, ‘4지’를 ‘네 손가락’으로 변경하는 등 국민이 이해하기 쉽게 바뀐다. 또한 지금은 등·초본 교부 신청서에 ‘제출처’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으나 불필요한 항목이라는 일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삭제하기로 했다.

행자부 측은 “이번 주민등록 서식 개선은 근거규정인 주민등록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올해 말까지 개정해 내년 초부터 시행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