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바이러스 대응 위한 정부 협력체계 가동
김세미
| 2016-02-03 11:07:19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국무조정실은 지난 1일 WHO(세계보건기구)의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국제 공중보건 위기상황’ 선포에 따라 지카바이러스 국내 유입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 내 대응체계를 점검하기 위해 관계 부처 차관회의를 개최했다.
국내에 아직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유입되지 않고 매개모기 활동이 없는 시기지만 중남미, 동남아 지역과의 빈번한 인적교류로 국내 유입가능성이 있다. 이에 WHO 권고사항을 적극 이행해 지카바이러스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고 국내 유입 시 전파와 확산을 방지하는데 관계 부처가 함께 적극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지카바이러스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실을 통해 관련 상황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전문가 자문단을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WHO, 감염병 발생국가 등과의 정보공유를 통한 국제 공조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공항, 항만 등을 통한 위험국가 입국자 대상 검역과 목재, 묘목 등을 통한 모기 유충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수입동·식물 등에 대한 검역도 강화한다.
이와 함께 국내 유입 시 바이러스의 전파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진단과 의료대비 체계를 강화하고 지카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 소두증 신생아 출산위험이 높은 임산부 보호를 위한 조치도 시행한다. 이외에도 당초 2017년에 계획된 모기에 대한 전국 일제조사를 앞당겨 올해 조기 실시하기로 했다.
이석준 국무조정실장은 “지카 바이러스 발병지역을 방문하거나 방문 예정인 국민들은 물론 의료기관 등도 지카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한 행동수칙을 자발적으로 이행해 감염병으로부터 우리 국민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