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처, 지난해 주요 안전사고 사망자수 전년 대비 감소

이명선

| 2016-02-02 11:19:36

2014년 7,076명에서 2015년 6,446명으로 630명 줄어 지난 3년간 주요 안전사고 사망자수 현황(단위 명)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지난해 주요 안전사고 사망자수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 열린 제22차 안전정책조정회의에서 지난해 교통사고, 산업재해(사고), 화재, 수난사고, 해양사고, 연안사고 6개 주요 분야의 안전사고 사망자수를 보고받고 부처별 사망자수 줄이기 대책을 점검했다.

안전처에 따르면, 2015년 발생한 6대 분야의 주요 안전사고 사망자수는 6,446명으로 전년도 7,076명에 비해 약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안사고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사망자수가 전년보다 감소했고 감소폭의 경우 해양사고(374명), 교통사고(167명), 화재(72명)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다만, 고령자 교통사고(49명), 건설현장 안전사고(61명) 등 분야별 세부항목에서는 사망자수가 전년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올 한해 사망자수를 줄이기 위한 각 부처별 추진계획도 발표됐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3월까지 인프라 개선, 교육·홍보 강화, 법·제도 정비, 지도·단속 확대 등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종합대책 세부시행계획을 확정한다. 고용노동부는 영세사업장과 하청근로자의 안전보건 확보를 위해 원청의 책임을 강화하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과 함께 고위험 업종별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고 추락, 위험기계, 장비 등 재해다발요인에 대한 관리체계도 구축한다.

안전처는 주택 소방시설(소화기·화재경보기) 보급 확대, 법령 정비(6층 이상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화, 소방차 미 양보행위 과태료 상향 등), 소방특별조사 강화 등 화재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또한 수난사고 대비를 위해 안전시설(표지판, 구명로프, 조끼 등)과 구조장비를 확충하고 소방안전체험관, 이동체험차량도 강화한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안전사고 사망자수, 체감도 조사결과 등 객관적 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며 “올해는 범정부적 협업을 한층 강화해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