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대규모 수하물 지연사태 주원인 ‘사고초기 초동대응 미흡’
이정미
| 2016-01-12 11:28:47
시사투데이 이정미 기자] 지난 3일 인천공항에서 발생한 대규모 수하물 지연사태에 대한 합동조사단의 중간조사결과가 12일 발표됐다.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총 20명의 합동조사단은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지연 원인 분석과 수하물처리시스템 운영센터와 시설 점검을 수행했다.
인천공항 수하물처리시설의 처리용량은 시간당 14,400개이며 당일 계획된 시간당 최대 투입물량은 7,500개로서 용량은 충분했다. 그러나 총 28개소의 CCTV와 오류분석 기록 로그파일 조사, 주요 오류발생 지점 현장 점검과 관계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 3일 사고초기 원격조치와 현장조치가 제대로 시행되지 못한 것이 결정적인 원인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수하물처리시스템의 최초 장애는 지난 3일 7시 52분 탑승동에서 여객터미널로 향하는 터널의 수하물 고속 운송라인(A지점)에서 모터제어장치에 오류가 발생해 30분간 운행이 정체되면서 발생했다. 수하물처리시스템 운영센터 담당자는 최초 주의메시지를 인지한 후 센터에서 원격으로 모터제어장치를 재구동시키기 위한 리셋조치를 했다. 하지만 실제 로그파일을 확인한 결과 사고 초기에 리셋조치가 되지 않았고 현장근무자도 장애발생지점에 투입되지 않았다.
그 여파로 수하물 운반용 트레이가 탑승동 동측 순환벨트에서 정체되면서, 탑승동 메인루프(수하물 순환벨트)의 수하물들이 지상조업 수취대 투하지점으로 접근하지 못해 탑승동 동측 뿐 아니라 동측 터미널까지 연쇄적으로 수하물이 적체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에 운영센터에서는 투하장치를 자동에서 수동으로 전환해 탑승동 메인루프 수하물을 수취대로 강제 투하하는 비상조치를 취했어야 했지만 오후 3시 26분에 강제 투하조치를 한 결과 4시경에 비로소 정체상황이 해소가 됐다.
합동조사단 측은 "수하물처리시설에서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오류(fault)에 대한 처리 미흡, 현장 근무자에 대한 관리감독과 업무처리 소홀, 비정상상황 해소를 위한 상황판단 실수 등 여러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사소한 오류가 대규모 사고로 발전했다"고 밝혔다.
이에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는 수하물처리시설 관리운영체계 개선, 시설보완 등 전반적인 종합보완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현장조치 실패, 지연 관련, 현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오류 요인별로 집중관리하고 오류(fault) 조치 매뉴얼 마련 등 구체적인 기준을 만들고 숙지훈련도 실시한다.
또한 수하물 관리센터 운영 개선방안을 수립해 BMC(수하물 관리센터)가 BOC(수하물 운영센터)와 중첩 관제토록 하고 관리기능도 강화한다. 상황별 조치, 보고와 교차 점검 강화를 위해 관리센터 인력을 현 12명에서 16명으로 증원하고 현장 지휘를 위한 팀장급 인력이 현장 관리센터에 상주한다.
예비인력 확보 및 시스템 관리 강화를 통해 명절 또는 휴가철 등 대규모 항공편이나 여객 이동이 예상될 경우 사전 예비인력 확보와 투입 계획을 수립 시행한다. 이밖에도 비상상황 시 체크인카운터 수하물 투입 분산 등 항공사, 지상조업사와의 협조 강화체계 구축, 시스템 및 설비 노후화 대비 핵심부품의 조기 교체 추진, 현장감시를 위한 CCTV 추가 설치, 단계별 보고∙조치사항 및 상황전파 절차 개선 등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월 설연휴 대비 사고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관계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1월내 모든 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