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외교장관 28일 서울서 회담…위안부 타결 시도할듯
윤용
| 2015-12-25 17:38:08
27일엔 국장급 협의…장관 회담 앞서 '사전조율'
윤병세(왼쪽)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사진=연합뉴스)
body{font-family: Tahoma,Verdana,Arial;font-size: 11px;color: #555555;margin: 0px}td{font-size :11px; font-family: Tahoma,Verdana,Arial;}p{margin-top:1px;margin-bottom:1px;}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최종 타결을 모색하기 위한 한일(韓日) 외교장관회담이 오는 28일 서울에서 열린다.
25일 외교부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28일 당일 일정으로 방한해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갖는다"며 "(양측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 양국간 현안 및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한·일 외교장관회담에 앞서 일요일인 27일 서울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12차 한·일 국장급 협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국장급 협의에는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참석한다.
앞서 전날 일본 언론들은 28일쯤 서울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열릴 것이라며 이 회담에서 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합의가 도출될 경우 내년 박근혜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조기에 성사시켜 정식 합의를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정상회담 이후 두 차례에 걸쳐 이뤄진 국장급 협의에서 이렇다 할 돌파구를 찾지 못한 상황인 만큼 이번 회담에서는 군위안부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한 외교 수장 간의 '담판'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외교장관 회담에 하루 앞서 국장급 협의가 열려 사전조율에 나선다는 점에서 외교장관 회담에서의 돌파구 마련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분위기다.
관건은 양측이 팽팽한 입장차를 유지했던 위안부 동원 강제성·법적책임 인정 문제를 놓고 일본이 내놓을 절충안이 한국의 눈높이에 얼마나 부합하느냐다. 양측이 양국관계를 포괄적으로 억누르고 있는 위안부 문제 조기해결에 공감해 서로 한 발 씩 양보해 진전된 입장을 내놓는다면 양국관계가 큰틀에서 개선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일본 정부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법적문제는 종결됐다는 자국 정부의 입장에 대해 "당연히 현재의 기본적인 생각은 바뀌지 않는다"고 답변해 협상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한편 외교 소식통들 사이에서는 이번 외교장관회담을 통한 위안부 문제의 연내 최종 타결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특히 이번 회담에서 중대 발판을 마련하고 내년 1~2월께 최종 합의에 이를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25일 외교부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28일 당일 일정으로 방한해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갖는다"며 "(양측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 양국간 현안 및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한·일 외교장관회담에 앞서 일요일인 27일 서울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12차 한·일 국장급 협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국장급 협의에는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참석한다.
앞서 전날 일본 언론들은 28일쯤 서울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열릴 것이라며 이 회담에서 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합의가 도출될 경우 내년 박근혜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조기에 성사시켜 정식 합의를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정상회담 이후 두 차례에 걸쳐 이뤄진 국장급 협의에서 이렇다 할 돌파구를 찾지 못한 상황인 만큼 이번 회담에서는 군위안부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한 외교 수장 간의 '담판'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외교장관 회담에 하루 앞서 국장급 협의가 열려 사전조율에 나선다는 점에서 외교장관 회담에서의 돌파구 마련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분위기다.
관건은 양측이 팽팽한 입장차를 유지했던 위안부 동원 강제성·법적책임 인정 문제를 놓고 일본이 내놓을 절충안이 한국의 눈높이에 얼마나 부합하느냐다. 양측이 양국관계를 포괄적으로 억누르고 있는 위안부 문제 조기해결에 공감해 서로 한 발 씩 양보해 진전된 입장을 내놓는다면 양국관계가 큰틀에서 개선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일본 정부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법적문제는 종결됐다는 자국 정부의 입장에 대해 "당연히 현재의 기본적인 생각은 바뀌지 않는다"고 답변해 협상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한편 외교 소식통들 사이에서는 이번 외교장관회담을 통한 위안부 문제의 연내 최종 타결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특히 이번 회담에서 중대 발판을 마련하고 내년 1~2월께 최종 합의에 이를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