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행정기관,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보강

방진석

| 2015-11-24 11:54:29

미래·산업·국토부 전담 과(課) 신설 행정자치부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정부 부처들의 사이버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부처별로 1∼2명씩 33개 부처에 총 37명의 정보보호 전문인력이 보강된다.

행정자치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기획재정부 등 33개 부처 직제 일부개정령안’이 24일 국무회의에 상정돼 심의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인력 보강은 지난해 12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원전자료 유출사고 이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국가 사이버안보 태세 강화 종합대책’에 따라 이루어졌다. 특히 이번 직제 개정의 특징은 정보보호 인력을 증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부처에 사이버보안 전담기구를 설치 운영하는 데 있다.

사이버 침해 시 국가 안보를 위태롭게 하고 국민에게 큰 불편과 손해를 끼치는 주요 기반시설이 많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3개 부처에 우선 전담과(정보보호담당관)를 신설하고 나머지 부처에도 전담팀(정보보호팀)을 설치하거나 인력을 증원 배치했다.

행자부 측은 “공공기관에 대한 사이버 위협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사이버보안(정보보호) 업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 동안 각 부처의 정보화담당관실에서 정보화개발 업무와 함께 수행하던 정보보호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부처의 사이버 침해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고 했다.

행자부는 이번 전담기구와 인력 보강을 계기로 각 부처에서 정보보호 업무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정부의 사이버보안 관리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재근 행자부 차관은 “정보화 기술 발달에 비례하여 사이버 공격도 갈수록 지능화·고도화되고 있다. 미국, 영국 등 선진국들은 일찍부터 국가 차원의 사이버보안 전략을 치밀하게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며 “이번 사이버보안 전담기구 및 인력 보강으로 정부 내 해킹, 정보유출 등 사이버 위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