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수술 건보 적용 방향 논의 위한 공개토론회

이성애

| 2015-11-03 09:44:07

로봇 수술의 급여화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 수렴 보건복지부 사진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보건복지부는 로봇 수술의 건강보험 적용에 대해 논의하는 토론회를 3일 오후 2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서울시 서초구 소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로봇 수술은 컴퓨터가 제공해 주는 3차원 영상을 바탕으로 인간의 손을 대체한 로봇 팔을 활요해 실시하는 수술이다. 개복 수술과 복강경 수술의 한계를 넘어 움직임에 제한이 없고 손떨림이 없어 비교적 정확하고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

로봇 수술의 건강보험 적용에 대해서는 현재 의료계, 학계, 환자 단체 등에서 매우 다양한 관점이 제기되고 있다. 비용이 700만원~1,500만원으로 고가의 수술이므로 건강보험이 적용될 경우 로봇 수술이 불가피한 일부 전립선암, 직장암 등 암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반면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개복 수술 또는 복강경 수술에 비해 치료 효과가 있는지 아직 명확하게 입증된 단계는 아니다. 다만 수술 편의성이 개선되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들이 알려져 있다. 또한 고가 장비를 사용하는 만큼 장비 구매와 특정 수술 건수의 증가 등 의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금번 공개 토론회를 통해 로봇 수술의 급여화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로봇 수술의 급여 적정성에 대해 보다 신중히 평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