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제조업분야 인력수급 미스매치 해소

염현주

| 2015-04-07 10:48:40

‘산업단지별 맞춤형 인력양성 추진계획’ 국무회의 보고 교육부2

시사투데이 염현주 기자] 전국 산업단지 내 청년층 제조업 종사자에 대한 인력부족 현상이 해소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산업단지 내 기업과 인근 학교를 연계해 체계적인 인력양성과 채용 확산을 위해 ‘산업단지별 맞춤형 인력양성 추진 계획’을 7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이번 계획은 올해 중소기업이 집적해 고용 유발효과가 큰 서울, 남동, 구미, 대구, 창원, 울산, 군산 등 10개 국가산업단지부터 추진된다. 2016년 21개 국가산업단지, 2017년 전국 41개 모든 국가산업단지로 확대할 예정이다. 올해는 고교 단계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에서 우선 연계하고 이를 기초로 내년 이후에는 전문대학, 대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학교와 시도교육청이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인력수요 기반으로 학과와 전공을 개편하고 정원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으로 직종, 직무분야, 직무수준 등으로 세분화해 산업단지 내 기업의 인력수요 조사를 추진한다.

매년 발생하는 기업 구인수요와 학교 졸업 예정자의 구직수요가 효과적으로 매칭 될 수 있도록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관리 운영하고 있는 산업단지 취업포털(dreajobgo.or.kr)을 적극 활성화한다. 산업단지 내 기업들은 구인수요, 보수, 직무내용, 경력개발경로 등을 정확하게 등재하고 산업단지 인근 학교와 재학생에게는 해당 취업포털 가입과 활용을 적극 권장해 안내할 예정이다.

아울러 산업단지 내 기업들이 자유학기제에 참여해 중학교 재학생에게 다양한 진로체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 내 기업 중 진로체험 제공 의사를 가진 기업을 발굴하고 진로체험지원전산망(‘꿈길’)을 통해 해당 기업, 학교, 학생을 연계한다. 참여 기업이 질 높은 진로체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업 담당자를 연수하고 관련 매뉴얼도 개발해 보급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고교 졸업 후 산업단지 내 입주기업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경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 내 캠퍼스를 지난해 14개 대학에서 올해 21개 대학으로 확대한다. 고교 졸업 후 중소기업 재직자에 대해 국외 학위 과정이나 해외 산업체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후진학자가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도록 장학금 지원, 학기당 이수학점 감축 등 학습자 지원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소기업이 집적돼 있는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기업과 학교 간 연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성화할 경우 직업교육의 현장성 강화와 청년 취업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