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고위급접촉 남북관계 개선 기회...5·24조치 대화로 풀어야"
윤용
| 2014-10-13 15:06:41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지금 핫이슈인 5·24문제 등도 남북한 당국이 만나서 책임 있는 자세로 진정성 있는 대화를 나누어 풀어 나가야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통일준비위원회 2차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모두연설을 통해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정착을 위해선 대화가 지속돼야 하며 고위급 접촉을 남북관계 개선의 기회로 삼아야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5.24 대북제재조치가 남북관계 개선이 부담이 되고 있다는 정치권 안팎의 주장에 대해 북측이 진정성 있는 행동을 보여줘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지난 4일 황병서 총정치국장 등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이후 북한 경비정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침범과 대북전단에 대한 고사총 발사 등 북한이 잇따라 도발을 감행했지만, 박 대통령의 이날 언급은 북한이 대화 분위기를 근본적으로 깨자는 차원은 아니라는 판단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최근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인천 방문과 남북 간 대화 재개 합의로 우리 국민들은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가졌다. 하지만 곧 이은 서해 NLL과 휴전선에서의 총격 사건으로 다시 불안이 가중되었다"며 "그동안 남북 관계는 늘 이렇게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 왔다. 섣부른 판단으로 남북 관계의 환경을 바꾸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최근의 총격사건으로 남북한 간의 대화분위기가 훼손돼선 안된다는 뜻을 나타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섣부른 판단으로 남북관계 환경을 바꾸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며 정부는 앞으로 도발엔 단호히 대처하나가되, 대화의 문을 항상 열어놓고 평화정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통일준비위가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통일에 대한 국민 의지를 결집하는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한 "진정한 통일을 이루려면 남북관계를 정략적 정치적 문제로 끌고 가거나 이용하려는 것에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지금 한반도의 평화는 불안정한 상태이지만 그럴수록 국민들이 긴장 완화를 체감할 수 있고 실제로 남북한이 평화의 관행을 쌓아 갈 수 있는 액션플랜이 필요하다"며 "한반도 단절의 상징이었던 비무장지대에 세계생태평화공원을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고 자신의 DMZ평화공원에 대해 말했다.
이어 "DMZ가 현재 온대지방에서 유일한 생태계의 보고로 환경 분야와 같이 이해관계의 충돌이 적은 분야부터 협력의 습관을 만들어 갈 필요가 있다"며 "남북한이 유엔 등 국제사회와 함께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첫 삽을 뜰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과 실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북 민생인프라사업과 관련해선 "북한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지원과 협력은 인도적 차원은 물론, 인권 차원에서도 확대돼야 한다"며 "의료 분야의 경우 기존 의약품 지원에서 더 나아가 장비·시설 등 의료 지원 시스템의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복합농촌단지 사업도 마을 단위의 식량문제 해결을 위한 비료지원,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부엌 개조, 마을 도로 정비 등 민생 인프라 차원의 구체적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이런 협력 사업은 남북한 주민의 소통과 동질성 회복을 위한 '민생 통로'를 열어가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남북 간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선 스포츠·문화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북한도 평화, 환경, 인권 등 인류보편적 가치를 존중하는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되어야 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한반도 통일이 동북아의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뿐 아니라 주변 국가의 안보적 이익에도 부합한다는 점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국제사회의 지지와 신뢰 속에 통일을 이룰 수 있고, 통일한국은 이웃나라들과 어울리면 함께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