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음에 의한 당뇨병 발생 촉진 ‘ATF3’ 발견
이성애
| 2014-08-13 09:15:03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질병관리본부 김원호 박사 연구팀은 사람이 술을 과다하게 마실 경우 활성전사인자3(ATF3)라는 단백질이 당 분해 효소(GCK) 유전자 발현을 저하시키고 당 분해 효소 분비를 감소시켜 당뇨병 발생이 촉진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당뇨병은 몸속에서 여러 이유에 의해 당대사 기능이 떨어져 혈액 속의 당을 제대로 분해시키지 못해 몸속의 혈당이 높아져 생기는 질병이다. 30세 이상의 성인 유병률이 12.4%(400만명, 성인 8명중 1명)에 이르고 공복 혈당장애는 600백만명에 이른다.
알코올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관대한 생활 습관적 위험인자로 여겨지고 있고 임상적으로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 고혈압, 당뇨 등 대부분의 만성질환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여전히 알코올 섭취가 만성질환 발생에 미치는 정확한 효과와 원인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다.
또한 적당한 음주는 당뇨병, 심혈관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과 주장들로 인해 음주의 위험성에 대한 의식이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의 음주 패턴을 보면 적당량의 음주 행태가 이루어지기 보다는 폭음에 가까운 음주 행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음주 위험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 생산을 통한 대국민 홍보 및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김원호 박사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과음으로 인해 증가하는 ATF3 단백질을 처음 발견했고 증가된 ATF3가 당 분해 효소(GCK) 유전자 억제에 직접 관여해 당뇨병을 촉진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향후 과음으로 인한 당대사 기능 저하, 당뇨병 발생 치료제 개발 등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사업’ 지원으로 수행됐고 관련 연구 결과는 세포생물학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Science Citation Index, SCI급)인 ‘생물생화학지(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에 게재될 예정이다. 현재 알코올 노출 당뇨병 임상환자시료 및 당뇨모델 쥐들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질병관리본부 측은 “향후 연구결과를 통해 알코올에 의한 당뇨병 발생 위험을 제어할 수 있는 요인으로 ATF3의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 약물이나 ATF3의 생체 내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 치료 기술의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