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매미 12종 소리 분석한 도감 발간
이명선
| 2014-07-31 10:20:28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국내산 매미 중 소리 주파수가 가장 높은 종은 세모배매미로 13kHz고 주파수가 가장 낮은 종은 참매미로 4kHz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우리나라의 매미 12종에 대한 울음소리를 담은 ‘한국의 매미 소리 도감’을 발간했다.
‘한국의 매미 소리 도감’은 한국산 매미 12종의 소리를 모아 담은 종합 매미 도감이다. 도감에는 매미의 생태정보, 소리, 스펙트로그램, 영상자료 등이 수록돼 국민들이 야외에서 매미소리를 직접 듣고 영상을 보면서 매미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했다.
한국의 매미는 보통 5월부터 나타나 11월까지 관찰되며 다양한 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5월 봄에는 세모배매미와 풀매미, 여름에는 말매미, 유지매미, 참매미, 애매미, 쓰름매미, 소요산 매미 등이 각각 소리를 낸다. 늦털매미 소리는 가장 늦은 11월까지 들을 수 있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음 대역의 주파수는 4kHz에서 6kHz로 참매미가 내는 4kHz와 말매미 소리인 6kHz가 이 주파수 대역에 속한다. 특히 도심에서는 오전 4시부터 오전 9시까지 참매미 소리가 가장 활발하게 들린다.
오전 8시부터 오후 2시에는 말매미 여러 마리가 경쟁적으로 함께 소리를 내어 사람들에게 소음으로 인식되곤 한다. 반면에 깊은 산속에서 활동하는 세모배매미의 소리는 13kHz로 사람들의 가청음 대역을 벗어난 주파수 대를 갖고 있다.
한편, 국립생물자원관은 2008년부터 한국의 자생동물 소리를 수집하고 연구해 한국의 새소리, 한국의 여치소리, 한국의 개구리소리, 한국의 귀뚜라미소리 등을 출판한 바 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