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질부족 공무원에 대한 제재 엄격해져

이성애

| 2014-07-22 11:01:38

국가·지방공무원법 개정안 입법예고 안전행정부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앞으로 비위혐의로 조사 수사를 받는 공무원에 대한 직위해제 조치가 강화되고 부당하게 재산상 이득을 취한 공무원에 대해서는 그 종류를 불문하고 징계 시 부가금을 부과한다.

안전행정부는 엄정한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위와 같은 내용의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 개정안을 22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먼저, 비위 및 자질부족 공무원에 대한 제재가 엄격해진다. 현재 비위혐의 공무원은 형사사건으로 기소되거나 중징계의결 요구 중인 경우에만 직위해제가 가능하다. 이에 기소나 중징계 의결 요구 전 공정한 직무수행이 곤란한 경우에도 직무를 계속 수행하게 하거나 편법으로 직위해제 하는 문제가 있었다. 앞으로는 사회적 물의를 빚어 조사 수사개시 통보를 받게 되는 경우에도 직위해제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현재 금품, 향응수수, 공금 횡령·유용은 일반징계 시효 3년과 달리 징계시효가 5년이고 징계처분 시 금품수수액 등 5배 이내의 징계부가금이 부과되고 있다. 그러나 금품, 향응 외에 부동산, 채무면제 등의 각종 재산상 이익을 제공받는 경우나 공금 횡령·유용이 아닌 공유재산이나 물품 등을 횡령·유용한 경우에는 이 조항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앞으로는 각종 재산상 이익, 공유재산, 물품 등까지 범위를 확대해 공무원의 직무수행 중 사익 추구는 종류를 불문하고 일벌백계할 예정이다.

시보공무원이 정규임용 전 범죄 같은 위법행위로 공무원으로서 자질이 심히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면직하기로 했다. 공무원시험에서 정보유출 또는 특정인 봐주기 등으로 부당한 영향을 준 시험위원이 있는 경우 현재는 1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 부과가 가능하지만 명단을 공표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했다.

이외에도 휴직 요건 간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 국내·외 연수휴직을 2년으로 동일하게 규정하고 남성공무원 육아휴직을 여성과 동일하게 3년으로 연장하는 내용도 담겼다. 연수목적 휴직은 국내가 2년이지만 국외의 경우 90년대 해외유학을 장려하면서 5년으로 확대된 바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국내·외 연수를 차별할 이유가 없어 동일하게 2년으로 개정했다.

또한 육아휴직의 경우 여성은 2008년부터 3년이지만 남성은 1년만 가능해 성별 간 차별적 제도라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육아에 대한 공동책임을 강조하기 위해 남성도 3년으로 연장했다.

정종섭 안행부 장관은 “이번 법 개정안은 비위공무원에 대해서는 관리를 강화하면서 형평성에 맞지 않는 제도를 개선하는 등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한 것이다. 하반기 국회 논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