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방재림, 지진 해일피해 확 줄여
조윤미
| 2014-04-08 09:44:40
시사투데이 조윤미 기자] 지진은 내륙의 피해뿐만 아니라 거대한 지진해일을 발생시켜 해안지역을 초토화시킨다. 지난 2010년 일본 동북지방에 발생한 지진해일 피해는 상상을 초월해 4년이 지난 지금도 피해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진 관측 이래 세 번째로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 1일 충남 태안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5.1이다. 다음날 2일과 3일에는 남미 칠레에서도 규모 8.2와 7.6의 강진이 발생해 국민들의 지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 발생, 건물과 도로 붕괴 등 직접적인 피해가 걱정이지만, 이후 발생되는 지진해일은 더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지진해일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대책 중의 하나가 해안방재림 조성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우리나라의 지진해일 피해 예방을 위해 해안방재림의 규모(폭)에 따른 해일의 에너지 저감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모든 해안이 지진 해일에 노출돼 있다고 밝혔다. 해안방재림의 폭이 증가하면 해일에너지 감소율은 커진다. 해안방재림의 폭이 10m인 경우 7%의 에너지가 감소되고, 100m인 경우 약 50%의 에너지가 감소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해안방재림은 각종 리조트 등 위락시설 개발로 인해 감소하는 추세다. 1980년과 2010년 항공사진을 비교한 결과 해안방재림은 동해안 177ha, 서해안 87ha 남해안 146ha가 각각 감소해 30년간 총 410ha 감소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해안방재림 평균폭은 동해안 52m, 서해안 69m, 남해안 29m로 지진해일에 의한 피해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남해안이 가장 문제다. 해일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적정수준의 해안방재림 조성이 요구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윤호중 박사는 “일반적으로 임목밀도가 높아지면 방재기능이 높아지지만 임목생장은 좋지 않아 영급(나무 나이)별 임목 적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지진 해일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해안방재림을 확대 조성하고 이미 있는 숲은 잘 가꿔야 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