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확대 시행
정명웅
| 2014-04-07 10:56:15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사업이 서울시, 대구시, 부산, 광주 등 6개 시·도에 이어 충남, 전남, 경남, 제주 등 4개도와 세종특별자치시로 확대 시행된다. 환경부는 가전제품 제조사와 지자체가 협업을 통해 추진한 ‘대형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사업’을 4월부터 5개 시·도를 포함해 총 11개까지 확대한다고 7일 밝혔다.
그동안 대형 폐가전제품을 배출하려면 수수료 3,000∼1만 5,000원을 내고 배출스티커를 부착해 수거지점까지 직접 운반해야 했다. 이번 사업은 전화 한통이면 전담 수거반이 방문해 원스톱(one-stop) 무상수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번 확대 시행은 지난해 6개 시·도 추진 결과 국민 만족도가 99.6%로 높은 데 따른 것이다. 무상 방문수거 사업은 소비자가 온라인(www.edtd.co.kr)이나 콜센터(1599-0903)를 통해 예약하면 수거전담반이 TV, 냉장고, 세탁기 등 폐가전제품을 수거해 재활용센터로 인계한다.
폐전자제품의 구성성분 중 재활용 되는 부분은 유리, 우레탄 성분을 제외한 철류, 비철류, 플라스틱류, 기타 성분 등이다. 품목별로는 세탁기 96.2%, 에어컨 93.4%, TV 92.4%, 냉장고의 80% 정도가 재활용돼 자원으로 재사용한다.
재활용센터는 입고된 폐가전제품을 환경 친화적인 시설에서 품목별로 전처리, 단계적 파쇄와 자력선별 등의 공정을 거친다. 플라스틱, 철, 구리 등으로 입자크기, 비중에 따라 재활용 가능한 원료로 재생산해 전자제품 업계 등에서 원료로 다시 사용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무상 방문수거 사업은 버려지는 폐제품을 회수하고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제도로 자원과 에너지가 선순환하는 자원순환사회 조기 실현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평가받는다”며 “모든 국민들이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이번에 참여하지 않은 지자체와도 협의해 7월 이후 전국단위로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