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 환자 2명 중 1명 젊은층
김균희
| 2014-03-03 10:00:05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불안에 시달리는 강박장애 환자 2명 중 1명은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강박장애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2만 1천명에서 2013년 약 2만 4천명으로 5년간 약 3천명(13.1%)이 증가했고 연평균 변화율은 3.1%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강박장애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57.7%~58.2%, 여성은 41.8%~42.3%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 진료인원보다 많았다. 연령별 점유율은 2013년 기준으로 20대가 24.0%로 가장 높았고 30대 21.2%, 40대 16.3% 순으로 나타났다.
20~30대 환자가 전체 진료인원의 45.2%를 차지해 강박장애 환자 2명 중 1명은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 연령구간 비율은 30대를 기준으로 30대 이전 연령층(10~20대)에서는 남성환자, 30대 이후 연령층(40~70세 이상)에서는 여성환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박장애 증상은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음에도 사고나 나쁜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끊임없이 하고 불안해 하는 강박성 사고와 손 씻기, 청소하기, 헤아리기, 검토하기 등 특정행동을 여러 번 반복하는 강박행위로 나눌 수 있다.
세부 상병별로 보면, 강박장애 전체 환자 3명 중 1명(31.6%)이 강박성 사고에 해당하는 ‘강박성 사고 또는 되새김’, 강박행위에 해당하는 ‘현저한 강박행위’는 5.8%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혼합형 강박성 사고와 행위’는 전체 환자 5명 중 1명(19.2%)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박장애 원인으로는 생물학적 원인(유전적요인, 뇌의 기능 이상)과 심리적 원인이 있다. 특히 다른 연령층에 비해 20~30대의 젊은층 환자들이 많은 이유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 임신과 출산 등의 스트레스가 주된 심리적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강박장애 치료는 약물치료와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가 있다. 약물치료법이 널리 활용되는 편이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치료법을 사용하거나 병행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