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대책’ 발표

김세미

| 2013-10-10 10:11:13

2020년까지 완화의료전문병상 880개에서 1,400여개로 확대 보건복지부 사진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보건복지부는 말기암환자 전문 의료서비스 정착을 위한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고 2020년까지 완화의료 이용률을 11.9%에서 20%로, 완화의료전문병상은 880개에서 1,400여개로 확대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를 위해 지역거점공공병원의 완화의료병동 신설·확대 지원, 의료기관 평가 가점 부여, 완화의료전문기관 건강보험 수가 적용 등을 추진해 일선 의료기관의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사망자 4명 중 1명이 암으로 사망할 정도로 말기암환자가 많으나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률은 11.9% 수준에 그치고 있고 이용 기간도 평균 21일에 불과한 실정이다. 대다수 환자들은 말기암 진단 이후에도 의료 이용 행태에 거의 변화가 없고 사망 2주전까지 CT·MRI·PET 등 검사, 항암 치료, 중환자실 치료 등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기암 기간 중 의료비 지출도 급격히 증가해 사망 전 3개월 의료비가 당해 연도 의료비의 50.4%에 달하고 특히 사망 전 2주 동안에 CT·MRI·PET 등 검사와 항암 치료 등에만 최소 100억원 정도가 지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복지부 관계자는 “호스피스완화의료가 정착되면, 말기암환자에게 불필요한 의료 행위는 배제하고, 필요한 의료 행위는 적극 활용해 말기암환자들의 고통도 줄어들고 가족과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도 줄어드는 1석 2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