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기간 길수록 폐암과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감소
장수진
| 2013-08-27 11:06:58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7일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흡연의 건강영향 분석 및 의료비 부담’ 세미나를 개최했다. 공단과 연세대학교는 2001년부터 공동연구 협약을 맺어 암 발생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한국인 암 예방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는 1992년부터 1995년 사이 공단 일반검진을 받은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과 피부양자(30세 이상) 약 130만 명에 대해 2011년 12월까지 19년 간 질병 발생을 추적한 건강보험 빅테이터를 바탕으로 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역학연구다.
추적조사 기간 동안 암 14만 6,835명, 심․뇌혈관질환은 18만 2,013명이 발생했는데 흡연자와 비흡연자로 나누어 질병 발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의 질병 발생위험도가 후두암의 경우 6.5배, 폐암 4.6배, 식도암 3.6배로 더 높았다. 여성은 후두암 5.5배, 췌장암 3.6배, 결장암은 2.9배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흡연이 해당 질환의 발생에 기여하는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후두암의 79.0%, 폐암의 71.7%, 식도암의 63.9%가 흡연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남성 흡연자 15만 7,903명에 대해 1992년부터 2000년까지 8년 동안의 금연력을 파악해 금연기간에 따른 질병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금연기간이 길어질수록 폐암과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년 이상 금연자의 경우 계속흡연자에 비해 추적기간 동안 폐암 발생률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 흡연으로 인해 초래된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은 1조 6,914억원으로 계산됐다. 이는 2011년 기준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 46조원의 3.7%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이 중 흡연이 뇌혈관질환, 허혈성 심질환, 당뇨병, 폐암, 고혈압 등 5개 질환의 발생에 기여함으로써 소요된 진료비 규모는 1조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김종대 이사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공단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민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실증적 연구를 수행한 사례다”며 “앞으로 건강보험 빅데이터가 국민의 질병예방과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에 귀중한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더욱 활용성을 넓혀나가겠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