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배출량 증가…범인은 “잘못된 분리수거 탓!”

정명웅

| 2013-06-05 11:39:17

전 재활용품으로 분리배출 가능한 유용자원 종량제봉투 안에 약 70% 종량제봉투 폐기물의 물리적 조성비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종이와 플라스틱만 잘 분리해도 종량제봉투 속 쓰레기를 절반 이상 줄이고 자원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국내 폐기물의 발생 특성을 정밀 분석한 2011∼2012년 ‘제4차 전국폐기물 통계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의하면, 1인·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940g으로 2006~2007년 3차 조사결과 869g 보다 8.2% 증가했다. 이중 종량제봉투 폐기물은 309g으로 2006년 209g 보다 47.7% 크게 증가했다. 특히 가정에서 종량제봉투 폐기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한 결과, 가구원수가 줄어들수록 1인·1일 발생량이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경부 측은 “1인 가구와 2인 가구의 1인·1일 발생량이 5인 가구 보다 각각 2.1배, 1.5배 높은 것으로 드러나 고령화, 가구해체 등에 따라 늘어나는 1∼2인 가구가 앞으로 폐기물 발생의 주요 영향인자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생활폐기물 발생량 증가의 주원인은 종량제봉투 안에 분리배출대상 품목인 종이류, 플라스틱류, 음식물류가 늘어난 결과로 확인됐다. 1인·1일 발생량 증가율을 보면, 종이류는 2006~2007년 73.4g/일/인에서 2011~2012년 126.8g/일/인으로 73% 증가했다. 플라스틱류는 44.9g/일/인에서 75.2g/일/인으로 68%, 음식물류는 17.0g/일/인에서 31.0g/일/인으로 82% 증가했다.

물리적 성상을 보면, 종량제봉투 폐기물은 물질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 약 70%를 차지해 잘 분리해 활용할 경우 직 매립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물질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은 종이류 41%, 플라스틱류 24.3%, 금속류 2.6%, 유리류 2.5%로 약 70.4%이다. 5년 전보다 총 11.8% 상승했다.

소각으로 에너지 회수가 가능한 가연성은 음식물류 10%, 기저기류 6.7%, 섬유류 3.3% 등 약 28%로 나타났다. 재활용과 소각이 곤란해 바로 매립해야 하는 폐기물은 토사, 회분, 연탄재 등으로 약 1.6%에 불과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자투리 유용자원 하나도 허투루 낭비하지 않는 자원순환사회를 조기에 구현할 수 있도록 매립부담금을 도입 할 것이다”며 “소규모 가구를 고려한 맞춤형 대책 마련을 강구하는 등 ‘새로운 정책 틀’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