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국 최초 '대형마트 주류 접근성 최소화 가이드라인' 제정
전해원
| 2012-11-21 16:23:54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서울시는 서울시내 모든 대형마트 63개 매장을 대상으로 주류 접근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대형마트 주류 접근성 최소화 가이드라인」을 제정·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서울시가 지난 8월 실시한 ‘대형마트 주류 판매실태 조사결과’에 따른 것으로서 청소년 불법 주류 판매를 막고 주류의 접근도를 낮추기 위해 제정됐다.
지난 조사결과에서 대상의 64.6%가 청소년에게 불법 주류 판매를 하고 있었으며 대상의 46%가 주류진열대가 잘 보이도록 배치돼 있고 7.9%만 주류를 별도 진열하는 등 높은 주류 접근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난 9월부터 서울시와 농협유통,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코리아 대표자 및 실무자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준수의 입장에서 참여해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가이드라인 골자는 △주류 매장의 위치 △주류진열 및 판매방식 △주류 광고와 판촉 △청소년 주류(담배) 판매 금지 △판매 종사자에 대한 교육 총 5가지 항목에 대한 세부 가이드라인을 담고 있다.
또한 가이드라인은 제정 즉시 적용하게 되며 다른 제품의 위치 이동이 선행돼야 하는 주류매장의 위치 부분은 내년 2월부터 적용하게 되나 법적 구속력이 없어 서울시는 규정 준수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조속한 정착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관련 법령 개정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시는 이번 대형마트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기업형 슈퍼마켓(SSM), 편의점 등 소형 판매점에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관련 업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 불필요한 술의 노출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김경호 복지건강실장은 “다른 나라에 비해 주류 접근이 쉬운 우리나라 현실에 대형마트의 참여가 절실히 필요하며 이제 사회적 책임을 함께 할 때다”며 “대형마트 대상의 주류 접근성 최소화 가이드라인은 엄정한 행정집행이 아닌 서울시와 업체가 함께 이뤄낸 자율적인 사회적 합의로써 앞으로의 실천을 위한 다짐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이를 통해 서울 대형마트의 주류 접근성이 최소화되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