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의 부엌일’과 ‘사위의 부엌일’ 국민의 62.7%, 63.4% 긍정적

이세리

| 2012-10-11 08:51:14

여성부, ‘2012년 여성정책 수요조사’ 결과 발표 여성 집중 직종에 남성 취업에 대한 태도 남성 우선 취업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응답자비율

시사투데이 이세리 기자] 여성가족부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함께 실시한 ‘2012년 여성정책 수요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주)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2,000가구에 거주하는 20∼65세 미만 성인남녀 3,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6월 중순에 걸쳐 개인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는 95% 신뢰수준의 최대 허용오차 2.5%p 내외다. 이번 조사는 우리 사회에서 남녀평등과 여성문제에 대한 의식과 태도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고, 성별과 연령별로도 상당한 차이를 보임에 따라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이뤄졌다.

남녀평등에 대한 인식과 태도

우리 국민들은 아직도 ‘우리 사회가 남녀 불평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국민의 75.5%는 ‘우리 사회에서 성차별이 여전히 문제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성차별이 여전히 문제된다고 인식하는 응답자 비율은 여성의 83.2%, 남성 67.8%로, 성별에 따라 남녀평등 수준에 대한 남녀 인식차이가 컷다.

국민들이 생각하는 여성에 대한 불평등이 가장 심한 부문은 경제·소득 부문(72.3%)이며, 그 다음은 정치(71.8%), 안전(범죄)(70.0%), 고용·노동 부문(69.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녀평등하다고 응답한 부문은 교육(22.4%), 보건(25.9%), 복지(27.4%) 부문 순이었다.

국민들이 남녀평등을 위해서 가장 의식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집단은 정치인(29.6%), 기업 경영자(17.7%),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14.3%), 교육계 종사자(12.7%), 언론계 종사자(7.9%) 순이다. 가정에서의 남녀 성역할 구분에 대한 태도가 개선되고 있고, 남아 선호 의식도 상당 부분 사라지고 있으나, 장·고령층에서는 여전히 이러한 의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우리 국민들은 가사 혹은 자녀양육을 전적으로 전담하는 남성 전업주부와, 결혼한 아들 혹은 사위가 부엌일을 하는데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우리 국민은 적어도 아들이 한 명 있어야 한다는데 대해 긍정적 태도 29.2%, 중립 29.2%, 부정적 태도 41.6%를 보였다. 연령별로 보면 40대 이하는 대부분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데 비해, 50대 이상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비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국민의 20.8%만이 자녀에게 재산을 상속할 때 딸보다 아들에게 더 많이 상속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즉, 대체로 재산상속에서도 아들 우대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실제 재산상속을 하는 연령층인 60대 남성의 경우, 여전히 재산상속에서 아들을 우대하겠다는 태도가 다수로 나타남

여성정책에 대한 수요

정치 분야의 여성 대표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수요 1순위는 여성 정치후보자 육성 및 발굴(33.1%)이었고, 다음으로 국회의원 비례대표 수 증가를 통한 여성 의원 확대(26.4%), 지역구 선출직 의원의 30% 여성 후보 할당 의무화(16.8%), 지방자치단체장 여성후보자 공천 확대(13.9%) 순이었다. 여성 일자리 분야 정책 수요에서는 남녀 모두 채용·승진·임금 등에서의 남녀 고용차별 해소(38.8%)를 1순위로, 그 다음은 일․가정양립제도 및 문화 확산(27.1%),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일자리 형태 다양화(15.5%),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12.4%) 순이었다.

가족정책 중 여성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자녀양육 지원(33.8%), 육아휴직 등 일․가정양립 지원(25.2%), 노인부양 지원(11.6%) 등으로 국민 10명 중 7명이 자녀와 부모를 돌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여성부 김금래 장관은 “이번 조사결과로 우리 국민들의 양성평등정책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며 “성차별 개선, 안전한 사회, 일․가정 양립 등에 대한 국민들의 구체적인 정책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던 만큼, 제4차 여성정책기본계획 등 중장기 정책 수립에 적극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