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35세 이상 임신부에서 임심중독증 발생 위험 높아
정명웅
| 2012-05-14 09:47:39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35세가 넘는 임신부는 임신중독증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5년 동안의 ‘임신중독증’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2006년 1,865명에서 2011년 2,034명으로 나타났고, 2011년 분만여성 1,000명당 임신중독증 진료환자는 4.8명으로 매년 분만여성 1,000명 중 5명은 임신중독증에 의해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연령별 진료환자는 30~34세가 가장 많았으나 분만여성 1,000명당 진료환자는 30~34세 4.5명, 35~39세 7.6명, 40~44세 9.1명으로 35세에 이후부터는 분만여성 대비 임신중독증 환자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특히 20대는 임신중독증 진료환자가 분만여성 1,000명당 3.8명이었고, 40대는 10.1명으로 20대에 비해 약 2.6배 많았다.
최근 5년 동안의 진료형태별 임신중독증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입원 환자보다 외래 환자의 증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세 미만의 환자는 입원·외래 모두 감소하는 반면, 30세 이상의 환자는 입원·외래 모두 증가하는 추세였다.
임신중독증과 관련한 건강보험 진료비도 2006년 7억 6천만원에서 2011년 12억 3천만원으로 나타나 2006년보다 2011년 진료비가 60% 이상 증가했다. 입원 진료비는 2006년 1인당 78만 1999원(급여비 63만7636원)에서 2011년 118만 8230원(급여비 95만9160원)으로 연평균 8.7%(급여비 8.5%)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