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 폐자동차 자원화 확대와 온실가스 감축에 앞장
이혜선
| 2012-01-20 14:39:32
시사투데이 이혜선 기자] 환경부은 현대·기아자동차와 폐자동차로부터 금속자원을 확보하고 냉매를 회수해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폐자동차 자원순환체계 선진화 시범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19일 양기관간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폐자동차에는 온실가스인 냉매*와 유해중금속 등이 포함돼 함부로 버리면 ‘폐기물’로써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처리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하지만 철․비철 등은 물론 희토류 등 다량의 희유금속을 함유하고 있어 금속 등을 회수해 재활용하면 오히려 ‘자원의 보고(寶庫)’로 활용될 수 있다.
환경부는 2008년부터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따라 폐자동차 재활용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고철 등 유가성 중심으로만 재활용돼 현재 재활용률이 84.5% 수준으로 법정 재활용률(85% 이상)도 달성하지 못하고 있고, 냉매 등 온실가스 처리체계도 미흡한 문제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가 중심이 되어 폐자동차 자원순환체계 선진화를 위해 지난해 10월 19일 환경부 장관과 자동차 제조 5사(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차, 쌍용차)가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그 후속조치로서 현대·기아자동차(주)와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현대·기아자동차(주)는 올해 폐자동차 78천대(폐차 발생량의 약 10%)를 시범사업의 목표량으로 설정해 폐자동차 재활용률을 2015년 95% 까지 올리고,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냉매는 회수·처리하기로 했다.
우선, 폐차장이 부품 등을 효율적으로 해체해 재활용을 확대하고, 냉매·유류 등 환경오염물질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도록 ‘친환경 해체재활용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버려지거나 해외로 유출되는 폐부품 등에 대한 폐차장간 공동 유통·재활용체계를 구축해 고부가가치 자원화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폐냉매의 적정 회수·처리체계를 구축해 온실가스 감축을 도모한다. 현재 일부 폐차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냉매 회수기 조차도 없어 폐차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냉매가 대기 중에 방출되고 있고, 일부 회수된 폐냉매도 처리업체가 없어 부적정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기아자동차(주)는 협력 폐차장에 냉매 회수기와 보관용기를 무상으로 보급하여, 폐냉매가 적정하게 회수되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회수된 폐냉매의 처리 비용부담을 책임지고 처리업체가 등록되도록 지원해 회수된 폐냉매가 안전하게 처리되도록 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자동차 제조사 중 현대·기아자동차가 선두주자로서 역할을 하고자 나선 것은 매우 뜻 깊은 일이다”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가로서, 자동차 제조업계가 자동차 자원순환에 있어서도 글로벌리더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