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기업의 효울적인 자원 관리 위해 국가통합자원관리시스템 구축
김균희
| 2011-08-29 09:04:28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지식경제부는 국가자원의 통합관리, 기업의 자원관리 지원 등을 위해 주요 금속 자원에 대한 전 과정 물질흐름분석(MFA)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국내 산업수요가 많은 구리(Cu), 아연(Zn), 알루미늄(Al), 철(Fe), 주석(Sn), 니켈(Ni), 납(Pb) 등의 16개 금속자원에 대해 원료수입, 가공, 제품생산, 사용․축적, 수집, 재자원화, 폐기 등 자원순환 전 단계에서 물질흐름량(단위: ton)을 정량적으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2009년 3월부터 그간 수차례 자원전문가 검증 등을 거쳐 물질(자원) 흐름을 8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 흐름량을 업체로부터 직접 조사하는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이번 분석결과는 자원의 흐름파악, 단계별 병목요인 분석을 통해 도시광산 활성화 등 정책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되고 기업은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료확보, 설비투자, 신소재 제품 출시 등을 결정 시에 판단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철, 구리, 알루미늄 등 범용금속의 자원순환률은 선진국 수준이나, 니켈 등 그외 희소금속은 선진국의 50% 미만인 상황이다. 또한 몰리브덴, 인듐, 텅스텐 등은 국내 재자원화 기술 부족, 코발트와 갈륨 등은 정․제련 설비 부족으로 많은 자원이 해외로 유출되고 있다.
이에 기술력 부족, 회수설비 미비 등으로 해외 유출되거나 폐기되는 16개 금속자원을 국내에서 재자원화할 경우, 연간 62만 1,600톤의 자원이 산업계에 순환돼 연간 약 1조 6,300억원의 천연자원 수입대체(연 6%)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경부는 ‘국가통합자원관리시스템(www.k-mfa.com)’을 구축해 올 9월부터 주요 분석정보를 기업에게 온라인상으로 제공하고 2014년까지 희토류(17개), 백금족(6개) 등 45개 금속자원에 대한 물질흐름분석도 추가로 추진해 총 61개 금속자원의 물질흐름분석 완비할 예정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