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시도자 44%가 음주상태

오기선

| 2011-01-26 09:48:33

국립중앙의료원, 25일 ‘음주와 자살’ 심포지엄 개최 국립중앙의료원

[시사투데이 오기선 기자] 국립중앙의료원(이하 NMC)은 25일 NMC 대강당에서 ‘음주와 자살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음주와 자살의 상관관계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질병관리본부의 ‘2008년도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 심층조사’에 따르면,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시도 환자 및 자살사망 환자의 약 44%(남자 47%, 여자 42%)가 음주상태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질병관리본부(CDC)의 사망률 주간보고서(MMWR)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 내 17개 주에서 자살로 사망한 1만 8,994명 중 혈중알코올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낸 사람이 33.2%에 달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심포지엄에서는 음주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의학적으로 규명하고, 음주와 연관된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 입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의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졌다.

기선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교수는 “한국인은 음주율이 높고 폭음하는 경향이 문제이다. 선진국과 달리 40대 이후 중년에도 음주율이 감소하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것이 위험하다”며 “과도한 음주에 대해 관용적이고, 회식장소에서 음주를 강요하는 음주문화의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맹호영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과장은 “우리나라 음주율이 1998년 52.1%로 상승한 이후 2001년 50.6%로 감소세로 접어들다 2005년에 59.2%로 다시 상승했다는 점에서 음주가 자살의 위험을 높이는 증거라 할 수 있다”며 “자살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음주량을 줄이는 보건학적 접근, 치료서비스와 같은 의료적 차원 등의 포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을 주관한 박재갑 원장은 “일반 국민들에게 우리나라 자살율이 OECD 1위, 한국인 사망질환 4위라는 점은 널리 알려졌지만, 음주가 자살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다”며 “특히 청소년과 취약계층의 알코올에 대한 접근성을 차단하는 정부차원의 정책과 알코올 문제를 갖고 있는 이들에 대한 신속하고 적극적인 예방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