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의 안전 최우선으로 '버스, 안심하고 타세요'

조시내

| 2010-09-03 16:47:48

노후버스 조기폐차 등 CNG버스 종합 안전대책 마련 행정안전부3

[시사투데이 조시내 기자] 지난 8월 9일 서울시 행당동 대로에서 발생한 ‘CNG 버스 연료통 폭발사고’로 인해 국민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사고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CNG 버스 종합 안전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노후버스 조기폐차 및 사고위험 차량의 정밀점검 등 근본적이고 강력한 조치 방안을 담고 있다.

우선 노후 CNG버스 조기폐차, 잠재 위험군 버스에 대한 정밀분해 점검, 제작단계 결함조사(리콜 검토) 등을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이미 운행이 정지된 2001년도 이전 생산 418대중 A사 버스(184대)를 잠재 위험군으로 분류해 조기폐차를 추진(‘10.11월 완료)하고, B사 버스(234대)는 점검해 안전이 확인된 버스만 노선에 재투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차량수명(9년) 만료 시 폐차를 원칙으로 해 신차구입 보조금 우선 지원을 통해 원활한 조기 폐차를 유도하고 운수사업자의 부담도 줄여나갈 예정이다.

또 운행 중인 2만 4천여대는 현재 운행에는 문제가 없다는 전문가 의견을 고려해 일단 버스운행은 허용하되 면밀한 안전점검을 실시해 나가기로 했다..

사고버스와 연료용기 설계방식이 동일한 2005년 이전에 제작된 A사 버스의 경우, 2002년식 버스는 조기 폐차를 유도하고 2003~2005년식 버스는 정밀 안전검사 후 필요시 용기 및 관련 부품을 교체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사고를 계기로 CNG버스 제작단계상의 결함여부 판단을 위해 A사와 B사의 CNG버스 결함조사에 착수했으며 조사결과에 따라 차량리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긴급 안전조치 및 단기대책과 함께 법제도 차원의 안전관리체계 정비, 점검방식 개선, 안전기준 강화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보급정책 개선 등 중장기 대책을 마련․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지경부․국토부로 이원화된 안전관리체계를 국토부로 일원화하되, CNG 용기 제조단계까지의 안전검사는 전문성을 가진 기관(가스안전공사 등)에 위탁해 실시하고 용기 장착 후 완성검사 및 재검사는 가스안전공사가 인력파견․공동작업 등을 통해 전문성을 보완, 안전점검에 차질이 없도록 해나갈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종합대책 추진을 위해 금년 추석 전에 국비(100억) 및 지방비(50억) 등 총 150억 원의 재원을 투입하고 경찰 수사 및 국토부의 제작결함 조사결과에 따라 별도 추가조치가 필요한 경우, 신속히 조치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며 “금번 대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부처별 이행상황을 철저히 상시 점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