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냉방온도 제한조치로 전력피크 막아
장민서
| 2010-09-01 00:12:18
[시사투데이 장민서 기자] 지식경제부는 전 국민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 백화점․호텔 등 에너지다소비 건물의 노력으로 지난 7월 26일부터 8월 27일까지 5주간 시행된 건물 냉방온도 제한조치가 이번 여름 전력피크 예방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여름철 에너지절약 및 전력피크 예방을 위해 시행한 ‘건물 냉방온도 제한조치’ 시행결과 대부분의 건물이 적정 냉방온도를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전수점검(7.26~8.6)시 냉방온도 준수율이 98.6%(6개 건물 미준수)이었던데 비해, 2차 점검(8.16〜8.27)시에는 모든 대상건물이 적정실내 냉방온도 26℃(판매시설, 공항은 25℃)를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차 점검 시 냉방온도를 미준수해 시정명령을 받은 6개 건물은 2차 점검 시 모두 적정온도를 준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443개 점검대상 건물의 평균 실내냉방온도는 26.5℃였으며 국민생활과 밀접한 다중이용시설의 평균냉방온도는 백화점(26.5℃, 98개), 호텔(26.4℃, 41개), 대형마트(26.3, 66개)로 조사됐다.
온도제한 효과는 경기회복 효과, 평년대비 무더웠던 올 여름 기상상황을 감안할 때, 금번 냉방온도 제한조치가 전력피크 예방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경기회복으로 인한 생산활동 증가와 7월 초순부터 이어진 무더운 날씨 등으로 인해 전력 수급불안이 우려되었으나 국민들의 적극적인 권장 냉방온도 준수와 443개 대형건물 대상 냉방온도 제한조치를 통해 올 여름 최대전력수요는 당초 예상(7,070만kW)보다 낮은 6,989만KW 기록했다.
특히 443개 대상건물의 금년 6월, 7월 전기사용량은 전년대비 각각 3.7%, 4.0% 증가에 그쳐, 우리나라 전체 전력소비 증가율(6월: 8.9%, 7월: 9.6%)을 크게 밑돌아 금번「건물 냉방온도 제한조치」에 따른 절전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뿐만 아니라, 7월중 백화점․대형마트의 매출액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사업장의 영업활동이 활발했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 조치를 계기로 에너지다소비 사업장의 에너지절약 실천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금번조치는 에너지절약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평가되는바, 설문결과 국민들은 냉방온도 제한은 ‘국가적으로 필요한 제도’(77.8%)이며 제한온도(26℃)는 ‘적정한 수준’(73.4%)으로 ‘활동에 큰 지장이 없다’ (87.9%)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방온도 준수건물에 대해 ‘덥게 운영되어 이용을 자제해야겠다’는 의견은 12.4%에 불과했으며 ‘에너지절약을 위해 노력하는 건물’(33.3%)이라고 생각하는 긍정적 의견이 월등했다.
정부는 금번 최초로 실시된 냉방온도 제한조치의 효과를 분석·평가해 향후 에너지절약 시책추진 시 보완시행 예정이다.
또 온도제한에 따른 시민의 불편증가 등의 시행상 문제점, 대상건물의 상시적 에너지절약 추진방안 등 보완대책을 마련해 에너지절약 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