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독립 선언’

신경화

news25@sisatoday.co.kr | 2010-01-06 11:16:13

자립율 100%이상 38개소, 50%이상 85개소, 20%이상 220개소 구축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잠재력

[시사투데이 신경화 기자]

환경부는 에너지 다소비 시설인 하수처리시설에 녹색기술을 적용해 에너지를 절감하고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이하 에너지 자립화 계획)’을 발표했다. 그간 하수도 사업은 시설확충과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신기술 도입에 집중했으나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고려는 미흡했다.

※ '08년 현재,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율(연간 에너지 사용량 대비 에너지 절감량과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합계의 비율)은 0.8%에 불과.

이러한 에너지 효율성 측면의 하수처리시설 기능 확대 요구에 맞춰 저탄소․녹색성장 및 기후변화에 대비한 에너지 자립화 계획을 마련했다.

※ 하수처리시설은 하수처리과정상 미활용 에너지(소화가스․소수력 발전․하수열) 및 부지활용 자연에너지(풍력․태양광 발전) 등 풍부한 에너지 잠재력 보유.

이번에 마련한 에너지 자립화 계획은 2030년까지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율 50% 달성을 목표로 3단계에 걸쳐 에너지 고효율 설비 도입 지원, 미활용 에너지(소화가스, 소수력, 하수열) 이용 지원, 자연 에너지(풍력, 태양광) 생산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 에너지 자립율 100%이상 38개소, 50%이상 85개소, 20%이상 220개소 구축

1단계(‘10년~’15년)

2단계(‘16년~’20년)

3단계(‘21년~’30년)

“에너지 자립율 18%”

󰋻소화가스(16.4%),소수력(0.6%) 도입완료

󰋻에너지 절감·태양력·풍력 도입(1%)

“에너지 자립율 30%”

󰋻풍력 도입완료(5.4%)

󰋻에너지 절감(2%)·태양광(4.6%) 확대

“에너지 자립율 50%”

󰋻에너지 절감(2%)·태양광(18%) 도입완료

<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추진 단계 >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의 주요내용을 보면,

① 에너지 절감 대책 추진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절감 가이드북*’ 개발, 에너지 최적운전 기술지원 및 교육 실시 등 하수처리시설 운영효율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을 추진하고 에너지 고효율 기기․설비*의 교체 및 도입 지원을 통해 하수처리시설에 에너지 절감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② 에너지 이용․생산 확대

선도적 적용이 적합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이용 가능 에너지원을 결합한 패키지형 시범사업 추진하고 에너지 자립화 확대를 위해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잠재력 지도를 작성․보급, 하수처리시설별 이용 가능한 에너지 잠재력의 종류․양, 지역 내 수요자․공급자의 현황․규모 등을 정리함은 물론 시범사업 분석․평가, 에너지 잠재력 지도를 바탕으로 적용기준 및 모델 등을 마련하여 단계별 미활용 에너지 이용 및 자연에너지 생산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③에너지 자립화 기반 마련

하수처리시설별 에너지 이용 실태조사 및 진단을 통해 시설별 목표 및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전국적인 확대 기반을 마련하고 에너지 자립화 사업에 대한 국고 우선지원 및 관련법령 정비 등의 제도개선, 국산 에너지 절감기기 개발 등의 에너지 자립화 관련 R&D 활성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에너지 자립화 관련 신기술 평가․자문, 관련 제도 연구․건의를 위한 에너지 자립화 전문가 포럼을 운영하며 에너지 자립화 홍보 및 체험 프로그램 개발․보급을 통해 친환경기초시설로의 이미지 개선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환경부는 에너지 자립화 추진을 위해 1단계 2015년까지 5,426억원, 3단계 2030년까지 총 3조 4,666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며 2030년까지 에너지 자립율 50% 달성으로 907GWh/년의 전력대체 및 558,000CO2톤/년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 연간 51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