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끓이거나 볶으면 독이 없어진다?'..가을 산행길 ‘버섯 중독 사고’ 주의
이지연 기자
sisatoday001@daum.net | 2025-09-16 23:18:41
-중독 의심되면 즉시 토해내고 의료기관 방문
[시사투데이 = 이지연 기자] 산림청과 농촌진흥청이 가을철 산행이 늘어남에 따라 야생 버섯 섭취로 인한 중독사고 주의를 당부했다.
가을에는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고 비가 잦아 버섯 발생이 급격히 늘어난다. 특히 9~10월은 성묘, 벌초, 단풍산행이 집중돼 야생버섯 특히 독버섯을 접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현재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버섯 2292종 가운데 식용으로 확인된 버섯은 416종(18%)에 불과하다. 독버섯이 248종, 나머지 1550종은 아직 식용 여부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산림청이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소장된 3만여 점 표본을 분석한 결과 9~10월 가을철 가장 많이 발생하는 독버섯 속은 광대버섯속, 무당버섯속이었다.
이 중 맑은애주름버섯, 노란개암버섯, 노란젖버섯, 큰주머니광대버섯 순으로 발생률이 높았다. 이들 독버섯은 식용과 겉모습이 비슷해 일반인이 구별하기 어렵다.
또한 독버섯은 발생 환경과 발달 단계에 따라 다양한 색과 형태를 띠는데 식용버섯과 동시에 자라는 경우가 많아 전문가가 아니면 판별이 쉽지 않다.
특히 기후변화로 버섯 발생 시기와 장소가 빠르게 변하고 있어 지난해 같은 장소에서 채취해 이상 없던 버섯도 독버섯이 아니라고 장담할 수 없다.
'가지·들기름 등과 함께 조리하면 독이 없어진다', '끓이거나 볶으면 독이 없어진다', '색깔이 화려하지 않고 원색이 아닌 것은 식용할 수 있다' 등 시중에 알려진 독버섯과 식용버섯 구분 속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 독버섯은 종류가 매우 다양해 일관된 기준으로 쉽게 구분할 수 없다.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통해 버섯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부 잘못된 정보가 유통되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붉은사슴뿔버섯은 소량만 섭취해도 치명적 중독을 일으키는 맹독버섯임에도 항암 성분을 추출한 연구를 근거로 마치 식용이 가능한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킨 사례가 있었다.
식용으로 알려진 버섯이라도 야생버섯은 세균이나 곰팡이에 오염되기 쉽고 덥고 습한 환경에서는 병원성 세균이 빠르게 증식해 식중독에 걸릴 수 있다.
독버섯을 섭취하면 보통 6~12시간 안에 구토, 복통, 설사, 어지럼증 등이 나타난다. 일부 독소는 잠복기가 길어 며칠 뒤 간·신부전으로 악화할 수 있다. 중독이 의심되면 즉시 토해내고 섭취한 버섯을 가지고 바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산림청 국립수목원 임업연구관 한상국 박사는 “야생버섯은 전문가도 현장에서 쉽게 판별하기 어려운 만큼 절대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며 “추석 명절에는 양송이, 느타리, 팽이버섯 등 농가에서 안전하게 재배한 버섯을 즐기기를 권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