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05월03일 (토) 3:15
ㅣ
Contact us
투데이 라이프
커뮤니티
이색 news
스타줌인
이벤트
자매지 뉴스
배우 이병준
문 대통령 직원과 식사
윤 대통령 수석비서관
회의
▒ Home > 커뮤니티 > 독자제보
6전체제(六典體制)의 경국대전
이미지 없음
6전체제(六典體制)의 경국대전 김민수 칼럼니스트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 성종 초년까지의 100년간에 반포된 법령·교지(敎旨)·조례(條例) 및 관례(慣例) 등을 망라한 조선왕조 정치의 기준의 된 법전이다. 1397년(태조 6년)의 경제육전(經濟六典)과 속육전(續六典)에 이어 1485년(성종 16년)에 최종본이 완성하여 반포하였으며 세조가 최항 등에게 명을 내려.. [2010.10.04]
<
more
>
분청사기(粉靑沙器) 백자(白瓷)
분청사기(粉靑沙器) 백자(白瓷) 김민수 칼럼니스트 조선 시대에는 사옹원(司饔院)이 궁중이나 관청에서 사용하는 도자기를 제작하였는데 세종실록 지리지에 전국의 백자를 굽는 가마인 자기소가 139개, 분청을 굽는 가마인 도기소가 195개소가 기록되어 있..
[2010.10.04]
수라상(水刺床)에 오른 궁중음식
수라상(水刺床)에 오른 궁중음식 김민수 칼럼니스트 조선 국왕은 7시 이전의 이른 아침에 먹는 초조반(初朝飯), 아침 수라(水刺), 점심의 낮것상과 저녁 수라(水刺), 밤중에 내는 야참 등 하루에 총 5차례의 식사가 있었으며 조선 국왕은 주로 아침 수라(水..
[2010.10.04]
서운관과 감영에 설치한 측우기
서운관과 감영에 설치한 측우기 김민수 칼럼니스트 측우기(測雨器)는 세종 23년(1441년) 8월 호조(戶曹)에서 설치할 것을 건의해 1442년 5월 측우(測雨)에 관한 제도를 새로 제정하고, 측우기를 만들어 서울과 각도의 감영(監營)에 설치했으며 측우기는 세..
[2010.10.04]
돌에 새긴 천문도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
돌에 새긴 천문도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 김민수 칼럼니스트 천체의 변화를 관측하고 그 변화를 천문도로 작성하고 돌에 새긴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은 태조 이성계의 조선 개국과 함께 제작되어 왕권을 표상하고 조선왕조가 천명을 받..
[2010.10.04]
대금(大芩) 나각(螺角) 편경(編磬) 편종(編鐘)
대금(大芩) 나각(螺角) 편경(編磬) 편종(編鐘) 김민수 칼럼니스트 철제금은입사대금(鐵製金銀入絲大芩)은 철로 만든 대표적인 관악기로 황죽(黃竹) 또는 쌍골죽(雙骨竹)으로 만든 옆으로 부는 피리이다. 대금은 취공 부분을 왼쪽 어깨에 올려놓고 불고, 취..
[2010.10.04]
북벌(北伐) 추진 군비 강화한 효종
북벌(北伐) 추진 군비 강화한 효종 김민수 칼럼니스트 효종은 청나라에 당한 치욕을 씻고자 김상헌(金尙憲)·김집(金集)·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 등 서인계 대청(對淸) 강경파를 중용하여 북벌(北伐) 계획을 추진했다. 효종의 청을 군사적으로 응..
[2010.10.04]
도성 복원하고 대동법 시행한 광조
도성 복원하고 대동법 시행한 광조 김민수 칼럼니스트 광조는 공납제의 폐단을 조정하고자 1608년 한백겸(韓百謙)의 대공수미법(代貢收米法)을 우선 경기도에서 시험적으로 시행할 것을 명하고, 이원익으로 하여금 시행사목을 작성케 했다. 이리하여 선혜법..
[2010.10.04]
언론 활성화하고 병법 정비한 문종
언론 활성화하고 병법 정비한 문종 김민수 칼럼니스트 문종은 어렸을 때부터 인품이 관대하고 후하여 누구에게나 좋은 소리를 들었으며 학문을 무척 좋아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최초의 정량적 강우량 측량기구인 측우기를 발명할 정도로 천문학과 산술에 뛰..
[2010.10.04]
재정 구조 재건 위해 노력한 현종
재정 구조 재건 위해 노력한 현종 김민수 칼럼니스트 현종은 군비 강화에 힘써 1665년 통제영(統制營)에서 불랑기(佛狼機) 50정, 정찰자포 200문을 만들어 강화도에 배치했으며, 1669년에는 어영병제(御營兵制)에 의한 훈련별대(訓練別隊)를 창설했다.1660..
[2010.10.04]
5군영 기초 마련, 상평청 설치한 인조
5군영 기초 마련, 상평청 설치한 인조 김민수 칼럼니스트 인조는 친명정책을 추진하면서 생겨난 전란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1623년 호위청(扈衛廳)을 신설하고 1624년에는 어영군(御營軍)을 창설했으며 이해 6월에는 기존의 경기군(京畿軍)을 정비·강화..
[2010.10.04]
주자학 장려, 사림을 등용한 선조
주자학 장려, 사림을 등용한 선조 김민수 칼럼니스트 선조는 주자학을 장려하고 사림을 널리 등용했으며, 스스로 학문에 힘써 강연(講筵)에서 이황·이이·성혼 등 대유학자들과 경사(經史)를 토론했다. 유교사상 확립을 위해 명유들의 저술과 경서의 간행..
[2010.10.04]
개혁정치 시도, 비변사 설치한 중종
개혁정치 시도, 비변사 설치한 중종 김민수 칼럼니스트 중종은 여론제도 등 유교정치의 복구와 교학(敎學)의 강화를 최대의 과제로 삼고 개혁정치를 시도했다. 홍문관을 강화하고 문신의 월과(月課)·사가독서(賜暇讀書)·춘추과시(春秋課試) 등을 엄격히 ..
[2010.10.04]
규장각 장용영(壯勇營) 설치한 정조
규장각 장용영(壯勇營) 설치한 정조 김민수 칼럼니스트 정조는 규장각(奎章閣)에 역대 왕의 문적들을 수집해 보관하게 하고, 중국에서 보내온 서적을 비롯한 많은 책들을 거두어 수장하게 했으며 1779년에는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2010.10.04]
탕평책(蕩平策) 균역법 실시한 영조
탕평책(蕩平策) 균역법 실시한 영조 김민수 칼럼니스트 영조는 1731년 남자노비가 양인의 여자와 혼인하여 낳은 자식을 양인으로 인정하는 노비종모법(奴婢從母法)을 확정지었으며 1744년에 완성된 속대전에 등재되었고 1729년 오가작통법 및 이정법(里定法..
[2010.10.04]
[이전10개]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