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04월06일 (일) 18:55 Contact us
 
투데이 라이프
커뮤니티
이색 news
스타줌인
이벤트
자매지 뉴스






배우 이병준

문 대통령 직원과 식사

윤 대통령 수석비서관
회의


▒ Home > 커뮤니티 > 독자제보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는 조선시대 사직단(社稷壇)의 시설상황, 각종 의식의 식례(式例)·의절(儀節) 및 사실(史實) 등을 기록한 책이며 1783년(정조 7)에 왕명으로 작성되었다.권수의 도설(圖說)에는 사직서전도(社稷署全圖)와 단유(壇壝)·찬실(饌實)·준뢰(尊罍)·제기(祭器)·악(樂)·무(舞)·악기(樂器)·무기(舞器)·제복(.. [2012.06.15] <more>
의친왕영친왕책봉의궤
의친왕영친왕책봉의궤 의친왕영친왕책봉의궤(義親王英親王冊封儀軌)는 1900년(광무 4) 7월 23일 경운궁 중화전(中和殿)에서 황자(皇子)를 책봉(冊封)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의친왕영친왕책봉의궤(義親王英親王冊封儀軌)는 총 9건을 작성하여 규장각(奎章閣.. [2012.06.15]
경덕궁수리소의궤
경덕궁수리소의궤 경덕궁수리소의궤(慶德宮修理所儀軌)는 1693년(숙종 19) 6월 경덕궁(慶德宮)의 대전(大殿)과 광명전(光明殿)을 수리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며 혜민서(惠民署)에 의궤청을 마련하고 어람용, 예조에 보관할 2건을 만들었고 프랑스에 어람용 1.. [2012.06.15]
진찬의궤(進饌儀軌)
진찬의궤(進饌儀軌) 대한제국 황실에서 황제·황후 등에게 진찬(進饌)한 내용을 기록한 진찬의궤(進饌儀軌)는 1901년(광무 5) 편찬되었다. 진찬(進饌)은 진연(進宴)보다 규모가 작고 의식이 간단한 것으로, 고조 광무제 대에 행하여진 일을 후세에 참고로 하기 .. [2012.06.15]
풍정도감의궤(豊呈都監儀軌)
풍정도감의궤(豊呈都監儀軌) 풍정도감의궤(豊呈都監儀軌)는 1630년(인조 8년) 3월, 인왕산 아래 서울시 종로구 필운동,누각동에 있었던 서궁 인경궁(仁慶宮)에서 대왕대비(大王大妃)인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풍정(豊呈) 의례를 거행한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 [2012.06.15]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는 1752년(영조 28) 3월 의소세손(懿昭世孫)의 예장(禮葬)에 관한 제반 사항을 기록한 의궤이며 상ㆍ하 2책으로 구성된 유일본이다. 의소세손(懿昭世孫)은 장헌세자(장조)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2012.06.15]
영접도감의궤(迎接都監儀軌)
영접도감의궤(迎接都監儀軌) 영접도감의궤(迎接都監儀軌)는 중국에서 파견된 사신(使臣)의 영접(迎接)에 관한 전말을 적은 책이다.명나라의 사신(使臣) 파견이 통보되면 조선 조정에서는 영접도감(迎接都監)을 설치하고 원접사(遠接使)와 필요한 요원을 선정하.. [2012.06.15]
대안문(大安門) 대한문(大漢門)
대안문(大安門) 대한문(大漢門) 경운궁 대안문(大安門)은 경운궁의 동쪽 문이자 정문이며 ‘크게 편안하다’는 뜻이다. 원래 경운궁의 정문은 다른 궁궐처럼 남쪽 문인 인화문이었으나, 1900년 대안문(大安門) 앞으로 큰 길이 나면서 정문인 인화문으로는 .. [2012.06.15]
경운궁 중화전(中和殿)
경운궁 중화전(中和殿) 경운궁 중화전(中和殿)은 경운궁의 중심 건물 정전이며 ‘중화(中和)’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바른 성정’이라는 뜻이다. 중용(中庸)에는 ‘희로애락이 발하지 않은 상태를 중(中)이라고 하고, 발하여 모두 절도에 맞는 것을 화(和.. [2012.06.15]
경운궁 태극전(太極殿)
경운궁 태극전(太極殿) 경운궁 태극전(太極殿)은 중화전(中和殿)의 뒤편에 있고 현 즉조당(卽阼堂)의 ‘즉조(卽阼)’는 ‘즉위(卽位)’와 같은 말로, 인조가 이곳에서 즉위하였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즉(卽)’은 ‘나아가다’, ‘조(阼.. [2012.06.15]
경운궁 덕홍전(德弘殿)
경운궁 덕홍전(德弘殿) 경운궁 덕홍전(德弘殿)은 고조 광무제의 침전 함녕전의 왼쪽에 있는 건물이며 ‘덕홍(德弘)’은 ‘덕이 넓고 크다’는 뜻이다.외국 사신이나 조정 대신들의 접견실로 쓰였다. 덕홍전(德弘殿) 자리에는 명성황후의 빈전(殯殿)과 혼전(魂殿.. [2012.06.15]
수옥헌(漱玉軒)
수옥헌(漱玉軒)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1895년 경복궁을 습격해 건청궁에서 명성황후를 살해하는 만행을 저지르자 고조 광무제는 1896년 2월 11일 조선국 왕궁 경복궁을 떠나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한다. 신변에 위협을 느낀 고조 광무제는 1897년 2월 .. [2012.06.15]
경운궁 함녕전(咸寧殿)
경운궁 함녕전(咸寧殿) 경운궁 함녕전(咸寧殿)은 정전 중화전 동쪽에 있는 고조 광무제의 침전이며 ‘함녕(咸寧)’은 ‘모두가 평안하다’는 뜻이다. 고조 광무제는 1919년 1월 21일 이 함녕전(咸寧殿)에서 붕어했다. 1901년 7월, 황태자가 고조 광무제의 오순(.. [2012.06.15]
5악(五嶽)
5악(五嶽) 조선시대에는 도읍 한성의 백악(북악산)에 백악신사(白嶽神祠), 목멱(남산)에 목멱신사(木覓神祠) 등을 설치하여 대사(大祀)·중사(中祀)·소사(小祀)의 제사를 봉행하였으며 5악(五嶽)을 동악에 금강산, 서악에 묘향산, 북악에 백두산, 남악에 지리.. [2012.06.15]
청계천(淸溪川) 5간 수문(五間 水門)
청계천(淸溪川) 5간 수문(五間 水門) 청계천(淸溪川)이 한성 중앙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흘러 중랑천과 합류한 후 한강으로 흘러 들어갔으므로 흥인지문(興仁之門) 남쪽 성벽 아래에 개천 물이 도성 밖으로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5간 수문(五間 水門)을 설치하.. [2012.06.15]
[이전10개][211][212][213][214][215][216][217][218][219][220][221][222][223][224][225][다음10개]